갤럭시노트FE, 출시 초기 잇따라 '고장'…불안감 증폭

  • 전국
  • 천안시

갤럭시노트FE, 출시 초기 잇따라 '고장'…불안감 증폭

  • 승인 2017-10-12 11:37
  • 김한준 기자김한준 기자
KakaoTalk_20171012_111251764
<속보>=지난해 배터리 발화 사고로 단종된 삼성전자 갤럭시노트 7이 '갤럭시노트 FE'로 시장에 재등장했으나 개통 초기 잇따라 고장이 발생하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중도일보 9월 26일자 14면 보도>

최근 타 지역에 거주하는 갤럭시노트 FE 구매자 박모(37)씨는 개통 두 달 만에 핸드폰 터치가 먹통 되면서 큰 불편을 겪었다며 제보를 해왔다. <사진>

지난 7월 17일 갤럭시노트 FE를 개통한 박 씨는 지난 9월 29일 추석 연휴를 앞두고 핸드폰 터치가 먹통 됐다.

박 씨는 지난 10일 AS 서비스센터를 찾았지만, 환불 혹은 교환 받을 수 있는 기한은 개통 2주 안에만 가능하며 2주 후에는 3회 이상 동일한 증상이 발생했을 경우만 해당된다는 답변을 들었다.



박 씨는 개통 초기 고가의 핸드폰이 고장 나자 언제 또다시 동일한 증상이 발생할지 모른다며 불안해 하고 있다.

앞서 다른 갤럭시노트 FE 구매자 이모(41)씨도 지난달 19일경 개통한지 한 달 된 갤럭시노트 FE를 결국 환불조치 받았다.

기존 핸드폰 가격대보다 출고가가 낮고 안정성을 높였다는 갤럭시노트 FE 광고를 보고 구매한 이 씨는 개통 한 달 만에 통화 불량 사태를 겪자 8월 중순 AS 서비스센터를 찾았다.

AS 서비스센터조차 원인 규명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이 씨는 유심칩도 따로 구매해 교체해 봤지만, 통화 불량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8월 말 AS 서비스센터를 다시 방문했지만, 결과는 별다를 것 없었다.

이 씨는 결국 갤럭시노트 FE 환불을 요청했고, 삼성전자 AS 서비스센터는 2주일 만에 환불조치 해줬다.

이들 제품은 삼성전자가 지난 7월 7일 갤럭시노트 FE는 배터리 발화로 단종된 노트7 미개봉 제품과 미사용 부품을 활용해 갤럭시노트 FE를 출시한 핸드폰이다.

스펙은 기존 갤노트 7과 같고 배터리만 3500mAh에서 3200mAh로 낮췄으며, 가격은 60만원 대로 판매됐다.

하지만 출시 한 달 만에 원인을 알 수 없는 고장으로 인해 환불조치 받는 일이 발생하고 개통 두 달 만에 핸드폰 터치가 되지 않는 등 고장이 잇따르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박씨는 "개통 두 달 만에 화면 터치 먹통현상이 발생하면서 앞으로 동일한 증상이 언제 또 발생할지 모른다는 불안감만 커졌다"며 "고가의 상품을 판매하면서 환불, 교환 시기를 핸드폰 구입 전에 설명하지 않는 점도 아쉽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AS 서비스센터 측은 이와 유사한 사례는 천안지역에서 지금까지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센터 측 관계자는 "갤럭시노트 FE를 환불해준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단순한 고장으로 인해 서비스센터를 찾는 고객들은 있었던 것 같다. 이는 갤럭시노트 FE뿐 아니라 다른 핸드폰도 마찬가지"라고 답했다.
천안=박지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1년 만의 행정수도 재추진...3가지 관문 통과가 관건
  2. 천안시의회 노종관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건축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본회의 통과
  3. 원모어아이 v2.0, 조달청 혁신제품 선정...기술력 입증
  4. 국세청, 집중호우 피해 납세자에 세정지원 강화
  5. 매월 22일 '소등의 날' 실천...세종시민이 탄소중립 선도
  1. 타이어뱅크(주)의 서비스 혁신·지역사회 나눔....7월에도 쭈욱~
  2. 19일 오후부터 충청권에 또 폭우…오전까지 침수·담장 붕괴 등 비 피해
  3. 천둥 번개 동반한 강한 비… 대전·세종·충남 최고 150㎜
  4. 천안시의회 조은석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독서문화 진흥 조례 개정안' 본회의 통과
  5. 천안시의회 김철환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의용소방대 지원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본회의 통과

헤드라인 뉴스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7월 16일부터 나흘간 충청권에 600㎜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9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충남은 전국 피해의 80%를 차지하는 농작물이 침수됐고 가축 수십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과 아산, 당진에서 수해 복구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충남도는 피해조사와 복구 대책 마련을 위한 합동조사단을 꾸린 상태다. 20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극한 호우에 충남에서는 서산(2명), 당진(1명)에서 3명이 침수 피해로 사망했다. 세종에서는..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8.2 전당대회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일제히 침묵,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행정수도 완성 역행 우려와 공론화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강행되는 이 사안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어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19일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서울마포을)과 박찬대 의원(인천연수갑), 최고위원 후보로 단독 출마한 황명선 의원(논산금산계룡) 등 3명은 8·2 전대 첫 지역별 순회 경선지인 충청권 온라인 합동연설에 나섰다. 이 가운데 정 의원과 황 의원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산다'는 비판을 받았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액 보조금 경쟁을 막고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며 시행된 단통법이 22일 폐지되면서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 유통 구조도 크게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은 2014년 10월 휴대전화 유통시장의 혼탁한 보조금 경쟁을 바로잡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이통사가 지원금을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유통점이 지급할 수 있는 추가 지원금을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했다. 하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