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Z세대들의 반기(反旗)

  • 전국
  • 부산/영남

[기자수첩] Z세대들의 반기(反旗)

‘네팔 이어 인도네시아, 필리핀을 뒤흔들다’ 한국은?

  • 승인 2025-09-29 16:34
  • 김시훈 기자김시훈 기자
김시훈
경북본부 김시훈 국장
아시아에서 급진적으로 확산 되고 있는 Z세대들의 불만이 반정부 시위로 이어지고 있어 이들 국가의 긴장감이 더없이 고조되고 있다.

최근 친중 성향을 이어왔던 네팔 정부가 무너진 이후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등지에서도 Z세대들의 반기(反旗)가 국기를 뒤흔들고 있다.



이는 계엄 정권 이후 법치가 무너져 내리고 있는 대한민국에서도 '윤 again'의 구호를 외치는 Z세대들의 집단행동이 결코 예사로운 모습이 아니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흔히들 Z세대를 일컬어 MZ 세대라고 하는데 M 세대는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에 출생한 밀레니엄(Millennial)세대며, Z세대란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출생한 신세대를 이름이다.



이들 Z세대는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개인의 행복과 개성을 중시하며 특유의 trend(사회나 특정 집단 내에서 발전하는 일정방향의 쏠림현상이나 경향과 동향)와 이색경험추구의 소비성향을 보이는 세대들이다.

이들은 인터넷과 디지털에 익숙한 '테크 세대'이자 '디지털의 원주민'격으로 자신의 가치관을 중시하며 온라인 활동과 경험 등 자아표현을 극히 중히 여기는 개성을 갖고 있다.

현재 아시아지역에서는 선·후진국을 떠나 이들 Z세대들이 정부에 대한 불신과 불만이 커지고 있는 이유는 ▲기성정치인들의 부정부패지수와 ▲청년 일자리부족에 따른 비자발적 실업률의 증가 등이 주요인으로 분석 되고 있다.

특히 '기존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이색경험을 추구하는 이들 Z세대들의 행동방식은 SNS에 의한 신속전파력만큼이나 결속력과 파괴력의 비중 또한 크다고 볼 수밖에 없다'라는 게 정설이다.

최근 한국의 Z세대들은 서울과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곳곳에서 자발적으로 무리를 지어 '윤 again'의 구호를 외치며 거리시위를 표면화(表面化)하는 등 기성세대들에게 경종을 울리고 있다.

특히 이들은 노란 봉투 법 등으로 기업이 일자리를 거두면서 가뜩이나 취약했던 청년들의 일자리를 앗아가고 있는, 현 정부가 만들어 놓은 악법에 대한 불만에 반기를 표출하고 있다.

Z세대는 기성세대들과의 가치관마저 달라 자신들이 옳다는 정의와 정도를 위해서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고 뛰어드는 세대로 예측 불가능의 활화산으로 비유되는 세대들이다.

국내 '정치적 불안정이 가속화되면서 현 정치권도 Z세대들의 동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있다.

한편 일련의 사태로 '민주당이 SNS 즉 '카톡 검열' 발상을 들고나오자 이들 Z세대들은 "옛날 우리 어르신들의 군 생활 당시 우편검열방식과 무엇이 다를까"라며 민주당을 향해 "히틀러 집단의 독재국가냐"라고 성토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구미=김시훈 기자 silim5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2.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3. [2026 수능] 국어·수학 변별력 있게 출제 예상… 수험생 증가·사탐런·의대정원 조정 등 '변수'
  4.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5.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1. "시민 빠진 문화행정"…대전시, 수치만 채운 예술정책 도마에
  2. ‘선배님들 수능 대박’
  3. 김영삼 "대덕특구 순환버스 중단 우려"… 산건위 市 교통국 행정사무감사
  4.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5. 이장우 시장 "지방재정 부담 사전협의 및 예타제도 개선 필요"

헤드라인 뉴스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국어는 독서가 어렵게, 수학은 공통·선택 모두 까다로운 문항이 배치되면서 수험생 체감 난도가 크게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영어도 지난해 수준을 유지했지만 일부 고난도 문항이 포함돼 상위권 변별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13일 입시 전문가들에 따르면 국어 영역은 지난해 수능보다 약간 어렵고 9월 모평보다는 부담이 덜한 수준으로 출제된 것으로 파악된다. 독서는 지문 난도가 높았던 반면 문학과 선택과목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구성됐다. 법 해석·담보 기능을 다룬 사회 지문은 개념 추론 과정이 복잡했고,..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