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베이비부머와 균형발전

  • 정치/행정

[기고] 베이비부머와 균형발전

권영섭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승인 2020-05-28 18:00
  • 신문게재 2020-05-29 18면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27AC68D8BCC64F53AC110B6D6C0BF694
▲권영섭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국토가 균형 있게 발전된 국가의 모범은 독일이다. 독일은 다수 핵 분산형의 국토공간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나의 대도시 주변에는 다수의 중소도시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고 국토전체는 다수의 대도시가 서로 적정거리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가 수도 베를린인데 377만명, 인구밀도도 4,012명/㎢(베를린을 둘러싼 브란덴부르크주 인구밀도는 86명/㎢)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서울, 수도권은 초만원이다. 공업화와 도시화 이후 비수도권의 인구가 유출되어 형성된 수도권 일극집중형의 국토공간구조이다. 2020년 3월 현재 서울인구가 약973만명, 인구밀도는 약16,100명/㎢(수도권 인구밀도 2,188명/㎢)으로 독일 베를린에 비해 인구 2.6배, 인구밀도는 4배나 높다. 국토의 12% 면적인 수도권에 인구의 절반이 산다. 그런 반면 지방중소도시와 농산어촌지역은 머지 않아 인구가 소멸될 수 있다는 경고를 보내고 있다.

그런데 수도권의 이 많은 인구는 언제 어디서 왔을까? 1960년 수도권 인구비중은 20.8%에서 1975년 31.5%, 1990년 42.8%로 30년간 2배가 되었다. 제조업 일자리를 얻으려고 농산어촌에서 도시로 이동하였고(이촌향도) 대학 진학과 취업을 위하여 이동했다. 비수도권 광역시 출신자들은 20~30%가 수도권으로 이동했고, 비수도권 광역도 출신자들은 40~50%가 수도권으로 이동했다.

이제 대학진학과 취업을 위하여 수도권으로 이동했던 베이비부머(1955~1963)들의 본격적인 은퇴가 시작되었다. 이들중 일부는 수도권을 벗어나고 있고, 그중 또 일부는 농산어촌으로 향하고 있다. 더욱이 요즘에는 코로나 19로 밀집된 도시, 집적도 높은 아파트에 고비용을 지불하면서 거주하기 보다는 밀도가 낮고 지가가 저렴한 비수도권으로 이주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여유를 즐기며 삶의 질을 높이고 싶다는 베이비부머가 늘고 있다. 코로나 19는 집적된 아파트문화를 선호하던 우리들에게 전원생활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수도권으로 이동했던 베이비부머들은 자신의 고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U턴), 수도권의 거주지와 가까운 지방도시나 농산어촌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 원래 수도권 주민이 농산어촌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들중 일부는 소위 고급일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비수도권에 입지한 기업이나 연구소에서 얻은 경험과 노하우를 5~10년은 충분히 지역 기업이나 연구소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일부는 젊은 노인으로서 귀농·귀어를 하거나 귀촌하여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 베이비부머들이 비수도권의 대도시나 중소도시나 농산어촌 어느 지역으로 가든 현재 초만원인 수도권은 밀집도를 좀 낮출 수 있다. 비수도권으로 완전히 이주하여 정착하면 국토불균형도, 지방소멸도 해소하고 지역인재부족도, 이로 인한 기업유치문제 등도 일부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살던 지역을 떠나 이주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반나절직장이라도 있으면 비교적 쉽게 임시로라도 이주할 수 있다. 수도권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비수도권에서 일터, 삶터, 쉼터를 갖추어 받아들일 준비가 필요하다. 중앙정부 차원에서도 비수도권으로의 이주, 반 이주를 촉진할 제도 마련과 개선 또한 필요하다. 베이비부머가 비수도권의 대도시이든 주변 중소도시나 농산어촌이든 이주하면 수도권의 손자·손녀들이 방학이나마 지방을 경험할 수 있다. 코로나 19 때문에 해외로 여행하기 힘든 시기에는 농산어촌에서 휴가를 보내도록 촉진하는 캠페인도 필요하다.

사람이 건강하려면 기본적으로 5개 장기가 적정 위치, 적정규모로 제 역할을 다하고 상호 역할 분담해야 하듯이 우리 국토도 5개 대도시와 주변지역들이 조화로워야 국토도 건강하고 지속가능하다. 베이비부머와 코로나 19는 균형발전을 위한 다시 없는 기회이다. 모쪼록 베이비부머의 은퇴와 코로나 19의 위기가 대한민국 경제와 국토균형 발전의 견인차가 되기를 고대해 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논산 탑정호, 500실 규모 콘도미니엄 현실화 '청신호'
  2. [총선리포트] 양승조·강승규, 선거유세 첫날 '예산역전시장' 격돌한다
  3. 내년 폐쇄 들어가는데…충남 석탄화력발전소 노동자들은 어디로?
  4. 한 총리, '의료 현장' 수습 총력… 충남대병원과 간담회
  5. KAIST 물리학과 채동주 씨 "걱정 없이 과학기술 연구할 수 있는 세상, 가장 쉽고 빠른 방법 투표"
  1. 에너지연 신동지구에 '태양광기업공동활용연구센터' 준공
  2. [중도일보 독자권익위원회] 4·10 총선 지역밀착형 기사 발굴 호평… 웹 접근 편의성 강화 필요성 지적도
  3. [대전 다문화]대전시가족센터서 ‘다문화 어린이 학습지원 사업 설명회’
  4. 美 프레스비테리안 대학 넬슨교수 한남대 총장 예방
  5. [대전 다문화]대덕구 여성단체협의회, ‘전통 장 담그기’ 개최

헤드라인 뉴스


[이슈현장] 고밀도 도시개발 이룬 유성… 온천관광특구 고유성은 쇠락

[이슈현장] 고밀도 도시개발 이룬 유성… 온천관광특구 고유성은 쇠락

대전유성호텔이 이달 말 운영을 마치고 오랜 휴면기에 돌입한다. 1966년 지금의 자리에 문을 연 유성호텔은 식도락가에게는 고급 뷔페식당으로, 지금의 중년에게는 가수 조용필이 무대에 오르던 클럽으로 그리고 온천수 야외풀장에서 놀며 멀리 계룡산을 바라보던 동심을 기억하는 이도 있다. 유성호텔의 영업종료를 계기로 유성온천에 대한 재발견과 보존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유성온천의 역사를 어디에서 발원해 어디로 흐르고 있는지 살펴봤다. <편집자 주> ▲온천지구 고유성 사라진 유성 대전 유성 온천지구는 고밀도 도시개발이 집중적으로 이뤄지..

대전시 재산 공개 대상자 평균 재산은 13억 5000여만원
대전시 재산 공개 대상자 평균 재산은 13억 5000여만원

대전시장 등 대전시 재산 공개 대상자의 평균 신고 재산은 13억 4822만원으로 조사됐다. 대전시는 2024년도 정기 재산 공개 대상자 97명에 대한 재산 변동 내역을 28일 관보 및 공보에 공개했다. 이 중 정부 공개 대상자는 29명, 대전시 공개 대상자는 68명이다. 재산이 증가한 공직자는 62명, 감소한 공직자는 35명으로 분석됐다. 재산 총액 기준 재산 공개 대상자의 71.1%(69명)가 10억 원 미만의 재산으로 보유하고 있다. 재산변동 사항을 보면 재산증가액 5000만 원 미만이 31.9%(31명)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진격의 한화이글스… 안방 첫 경기 승리 기대
진격의 한화이글스… 안방 첫 경기 승리 기대

한화이글스가 시즌 초반부터 승승장구하면서 29일 예정된 대전 홈 개막전에 대한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돌아온 괴물' 류현진이 안방에서 팬들에게 화끈한 선물을 선사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한화는 올 시즌 첫 개막전에서 LG트윈스에 패배하며 아쉬움을 남겼지만, 27일까지 3경기 연속 연승가도를 달리며 분위기를 완전히 뒤집어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탄탄해진 선발진이다. 지난해까지만 하더라도 선발부터 흔들리며 이기던 경기도 불안한 모습을 보였던 한화이지만, 올해는 확실히 달라졌다는 것을 경기력으로 입증하고 있다. 펠릭스 페냐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22대 총선 공식 선거운동 돌입…표심잡기 나선 선거 운동원들 제22대 총선 공식 선거운동 돌입…표심잡기 나선 선거 운동원들

  • 중구청장 재선거도 치러지는 대전 중구…표심의 행방은? 중구청장 재선거도 치러지는 대전 중구…표심의 행방은?

  • ‘우중 선거운동’ ‘우중 선거운동’

  • 대전과 세종에서 합동 출정식 갖는 충청지역 후보들 대전과 세종에서 합동 출정식 갖는 충청지역 후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