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꽃의 매혹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꽃의 매혹

김명주 충남대 교수

  • 승인 2020-10-19 09:57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김명주-충남대-교수
김명주 충남대 교수
어쩌다 한가롭게 카톡 프로필 사진들을 쭉 내려 보면, 누구나 한두 번쯤 꽃에 매혹된 듯, 꽃은 매우 빈번한 피사체다. 나 역시 꽃은 언제 봐도 신비롭다, 봄이면 유채꽃, 가을이면 코스모스, 꽃 군락을 이룬 곳마다 사람들이 넘쳐난다. 왜 우리는 꽃에 매혹되는 것일까? 무채색의 일상과는 너무도 다른, 꽃의 선명한 빛깔, 탐스러운 자태가 '살아있음'의 절정을 상기시키는 까닭일까. 딱히 의식하지도 못한 채, 우리는 꽃이 뿜어내는 '살아있음'의 절정을 예찬하고, 그토록 '선명한 빛깔로 살아있음'에 대한 갈망을 표현하고 있는 것일까.

그런데 꽃의 매혹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제아무리 찬란한 꽃도 시들지 않는 꽃은 없고, 찬란해서 더욱 시듦은 아쉽다. 대신 꽃이 진 자리엔 열매가 영글고, 이듬해 열매는 다른 꽃으로 부활한다. 이렇게 꽃은 꽃 자체의 찬란한 생명 절정을 찬탄케 할 뿐만 아니라, '순환하는 생명'을 시적으로 육화한다. 그래서 꽃은 '순환하는 생명'을 대표하는 은유가 되나보다.

지난 주 2020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시인 루이스 글뤽도 자주 꽃을 은유로 순환하는 존재의 차원을 열어낸다. "야생 붓꽃"을 통해 글뤽은 "뻣뻣한 흙 속에 묻힌" 죽음을 넘어 부활하는 야생 붓꽃의 생명을 찬탄한다. 글뤽은 꽃의 목소리로 말한다. "내 고통의 끝에/문이 있었어." 꽃은 이미 죽음을 경험했고, 죽음 끝에서 다른 생의 문을 발견했던 것이다. 그리고 다시금 "내 생명의 중심으로부터/거대한 분수가 솟구친다. 짙푸른 빛으로" 붓꽃은 부활한다.

순환하는 생명! 그리하여 현대인에게 꽃은 이미 까맣게 잊혀진 고대의 시간관을 환기시키는지도 모른다. 고대인들은 과거, 현재, 미래가 공존한다고 믿었다. 고대인에게 인간 종은 만물의 영장이 아니었을 터, 자신의 관점이 아닌 대자연의 관점에서 시간을 파악했음직하다. 어차피 의식의 여명기, 인간 자아와 자연의 구분은 지금처럼 확고하지도 않았을 테니까. 대자연은 태어나고, 죽고, 다시 태어나는 순환계다. 수명이 길어봐야 120년을 넘기 어려운 인간 생명체의 차원에서 시간은 시작해서 정녕 끝장나는 "화살"일 수밖에 없지만, 고대인이 대자연과 대우주의 시간차원에서 시간을 인식했다면, 필시 시간은 순환으로 인식되었고, 따라서 과거-현재-미래는 동일선상에 놓였을 것이다. 관점과 차원이 문제다. 인간의 관점을 벗어나면 새로운 시간 차원이 열린다. 1977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일리아 프리고진은 "시간이 거꾸로 갈 수 있다"고 말했다. 즉, 시간의 순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물론 단서가 붙어있기는 하다. 시간이 거꾸로 가는 것은 충분히 긴 시간에서만 가능하고, 닫힌 체계에서만 가능하다고 말한 바 있다. 인간의 생애와 역사를 넘는 대자연의 우주 시간 속에서는 시간은 가역적이라는 뜻이다.



그리하여 고대인들은 허물을 벗고 새로 태어나는 뱀을 숭배했고, 나날이 모양이 변화할 뿐만 아니라 그믐의 죽음을 너머 초생달로 부활하는 달을 신성시했고, 죽은 듯 동면한 후 새끼를 거느리고 나타나는 곰을 숭배했다. 뱀과 달과 곰이 '순환하는 대자연'을 대표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대인은 더 이상 고대인의 상징을 숭배하지 않는다. 고대를 지나 어느 시기부터 시간은 탄생에서 죽음으로 끝나는 일직선으로 날아가는 "화살"로 여겨지게 된다. 그 변환의 시기는 문자의 발명, 가부장제의 발달, 종교적으로 여신이 남신으로 교체되는 시기와 맞물린다고 한다.

현대인은 뱀-달-곰 대신, 무의식 깊숙이 각인된 고대인의 순환적 시간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에 투사하고 있는 듯하다. 그래서 우리는 꽃에 매혹되고, 꽃을 숭배하는 것이 아닐까. 꽃에 대한 매혹은 개체로 영생하려는 미이라의 뻔뻔한 탐욕과는 다르다. 꽃은 피고 지는 생명의 부침과 순환, 죽어도 다시 사는 큰 차원의 역설을 깨닫게 하는 매개인 까닭이다.

김명주 충남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논산 탑정호, 500실 규모 콘도미니엄 현실화 '청신호'
  2. [총선리포트] 양승조·강승규, 선거유세 첫날 '예산역전시장' 격돌한다
  3. 내년 폐쇄 들어가는데…충남 석탄화력발전소 노동자들은 어디로?
  4. 한 총리, '의료 현장' 수습 총력… 충남대병원과 간담회
  5. KAIST 물리학과 채동주 씨 "걱정 없이 과학기술 연구할 수 있는 세상, 가장 쉽고 빠른 방법 투표"
  1. 에너지연 신동지구에 '태양광기업공동활용연구센터' 준공
  2. [중도일보 독자권익위원회] 4·10 총선 지역밀착형 기사 발굴 호평… 웹 접근 편의성 강화 필요성 지적도
  3. [대전 다문화]대전시가족센터서 ‘다문화 어린이 학습지원 사업 설명회’
  4. 美 프레스비테리안 대학 넬슨교수 한남대 총장 예방
  5. [대전 다문화]대덕구 여성단체협의회, ‘전통 장 담그기’ 개최

헤드라인 뉴스


[이슈현장] 고밀도 도시개발 이룬 유성… 온천관광특구 고유성은 쇠락

[이슈현장] 고밀도 도시개발 이룬 유성… 온천관광특구 고유성은 쇠락

대전유성호텔이 이달 말 운영을 마치고 오랜 휴면기에 돌입한다. 1966년 지금의 자리에 문을 연 유성호텔은 식도락가에게는 고급 뷔페식당으로, 지금의 중년에게는 가수 조용필이 무대에 오르던 클럽으로 그리고 온천수 야외풀장에서 놀며 멀리 계룡산을 바라보던 동심을 기억하는 이도 있다. 유성호텔의 영업종료를 계기로 유성온천에 대한 재발견과 보존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유성온천의 역사를 어디에서 발원해 어디로 흐르고 있는지 살펴봤다. <편집자 주> ▲온천지구 고유성 사라진 유성 대전 유성 온천지구는 고밀도 도시개발이 집중적으로 이뤄지..

대전시 재산 공개 대상자 평균 재산은 13억 5000여만원
대전시 재산 공개 대상자 평균 재산은 13억 5000여만원

대전시장 등 대전시 재산 공개 대상자의 평균 신고 재산은 13억 4822만원으로 조사됐다. 대전시는 2024년도 정기 재산 공개 대상자 97명에 대한 재산 변동 내역을 28일 관보 및 공보에 공개했다. 이 중 정부 공개 대상자는 29명, 대전시 공개 대상자는 68명이다. 재산이 증가한 공직자는 62명, 감소한 공직자는 35명으로 분석됐다. 재산 총액 기준 재산 공개 대상자의 71.1%(69명)가 10억 원 미만의 재산으로 보유하고 있다. 재산변동 사항을 보면 재산증가액 5000만 원 미만이 31.9%(31명)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진격의 한화이글스… 안방 첫 경기 승리 기대
진격의 한화이글스… 안방 첫 경기 승리 기대

한화이글스가 시즌 초반부터 승승장구하면서 29일 예정된 대전 홈 개막전에 대한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돌아온 괴물' 류현진이 안방에서 팬들에게 화끈한 선물을 선사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한화는 올 시즌 첫 개막전에서 LG트윈스에 패배하며 아쉬움을 남겼지만, 27일까지 3경기 연속 연승가도를 달리며 분위기를 완전히 뒤집어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탄탄해진 선발진이다. 지난해까지만 하더라도 선발부터 흔들리며 이기던 경기도 불안한 모습을 보였던 한화이지만, 올해는 확실히 달라졌다는 것을 경기력으로 입증하고 있다. 펠릭스 페냐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22대 총선 공식 선거운동 돌입…표심잡기 나선 선거 운동원들 제22대 총선 공식 선거운동 돌입…표심잡기 나선 선거 운동원들

  • 중구청장 재선거도 치러지는 대전 중구…표심의 행방은? 중구청장 재선거도 치러지는 대전 중구…표심의 행방은?

  • ‘우중 선거운동’ ‘우중 선거운동’

  • 대전과 세종에서 합동 출정식 갖는 충청지역 후보들 대전과 세종에서 합동 출정식 갖는 충청지역 후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