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칼럼] 78. 불교와 기독교에서 공(空)이란 무엇인가?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염홍철 칼럼] 78. 불교와 기독교에서 공(空)이란 무엇인가?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 승인 2024-07-25 10:45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염홍철칼럼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제가 이해하는 불교는 부처(붓다)의 어원이기도 한 '깨달음'을 얻는 종교인데, 자비와 지혜가 그 실천 덕목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더 근본적으로는 '공(空)'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불교에서는 인간에 대해 분석하면 할수록 아무것도 발견할 수 없다고 합니다. 그것이 불교의 공이라는 개념이지요. 달라이 라마는 실제로 모든 것은 존재하지만 그것들이 어떤 방식으로 존재하는지 우리는 알아낼 길이 없고 그래서 모두 공이라고 했습니다.

글자 그대로 공은 아무것도 없는 텅 빈 것이지만, 달라이 라마에게는 "세상에 있는 모든 것, 즉 사물들, 사람들, 동물들, 생각들, 감정들, 물건들에 우리가 이름 붙인 모든 것"이 공이라고 했는데, 밍규르 린포체의 공에 대한 설명은 더 어렵습니다. 그에 의하면 공은 '제로의 의미'가 아니라 '제로의 상태'라고 합니다. 그래서 공은 물건 자체라기보다는 어떤 것이 생겨나고 변하고, 사라지고 다시 생겨나도록 허용하는 일종의 관계인 것입니다. 두 분 모두 공을 상호의존성으로 파악했고 일종의 잠재 가능성이라는 데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베트남 명상 스님인 틱낫한도 '공은 아무것도 없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분리된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뜻으로 풀이했습니다. 언젠가 한국을 방문한 틱낫한은 공에 대해 친절히 그리고 자세히 설명해 주었습니다. "공이란 어떤 것일까요? 공을 철학자처럼 이해해서는 안 됩니다. 그저 공의 의미만을 찾으려고 해서는 안 됩니다. 공은 철학이 아니라 도구입니다. 공은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방법이며 세상을 바라보는 방법입니다. 공은 비존재가 아니며, 실재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공은 우리 자신과 우리 자신을 둘러싼 모든 것의 본성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불교와 기독교 등 종교의 벽을 두지 않아 열린 종교학자로 알려진 길희성 교수나 종교에 대한 비교 연구를 한 오강남 캐나다 리자이나대 명예교수 등도 '공'에 대한 불교와 기독교의 입장 차이를 설명하였습니다. 재작년에 작고하신 길희성 교수님은 '보살 예수'에서 불교는 사물의 존재를 다른 사물과 상호의존성이라는 수평적 관계에서 파악하고, 기독교는 허구성을 안고 있는 사물을 존재하게 해주는 어떤 절대적 존재를 인정하는 것으로 차이를 설명합니다. 오강남 교수는 여러 강론을 통해 불교는 '참 나(참된 본래 모습의 나)가 곧 절대자'라고 규정하나 이것은 기독교에서 말하는 '절대자는 하나님뿐'이라는 것과 차이를 보인다고 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공의 관점에서 보면 기독교와 불교는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깨닫고 나면 궁극적인 실재와 하나가 되는 것이 불교의 목표인데 이에 반해 기독교는 하나님만을 절대적 존재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기독교 신자는 하나님을 믿고 모든 것을 의지하지만 불교 신자는 모든 것을 자력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그런데 틱낫한 스님은 "기독교와 불교는 인류 역사에 핀 '아름다운 두 송이 꽃'이다"라면서 기독교와 불교 간의 이질감보다는 동질감에 주목합니다. 특히 '기도'라는 책에서 "기독교 신자든 불교 신자든, 비록 종교가 없는 사람일지라도 '기도하라'"고 선포하면서, 기도는 웃음과 행복을 줄 수 있다고 했습니다. 이렇게 이분은 공통점을 강조하지만, 저는 기독교 신자, 불교 신자 그리고 종교가 없는 사람들의 '기도'의 본질적 의미는 다르다고 생각하는데, 이것은 틱낫한 스님의 '기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탓이겠지요?

이런 생각을 하면서 황지우 시인의 "개미 날개만 한 지식으로 화엄창천을 날아다니는구나"라는 시 구절을 저 스스로에게 들려주고 싶네요.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3년간 대전서 송치된 뇌물죄 공무원만 8명…계약 비리는 관행?
  2. 농촌공간 정비사업 '금산군' 선정
  3. 천안검찰, 수의계약 허점 이용 100억원 편취한 혐의 등 일당 8명 기소
  4. 도민 화합의 축제 제 77회 '충남도민체육대회' 개막
  5. 김태흠 지사, 민선8기 4년차 시군 방문 돌입
  1. 세종시, '영화·드라마 촬영지' 잠재력 확인...남겨진 숙제는
  2. 세종시 '중앙공원·장남평야'서 생물 341종 발견...다양성 확인
  3. [문예공론] 김선미 교장선생님의 슬기로운 은퇴생활
  4. ‘고향에 선물 보내요’
  5. 대전에서 잡(JOB)는 내일

헤드라인 뉴스


이 대통령·경제단체장·재벌총수들, 경제 위기 극복 ‘한목소리’

이 대통령·경제단체장·재벌총수들, 경제 위기 극복 ‘한목소리’

이재명 대통령과 경제단체장, 재벌총수들이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민관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며 한목소리를 냈다.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6 경제단체와 기업인 간담회’에서다. 간담회에는 이재명 대통령을 비롯해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SK그룹 회장), 류진 한국경제인협회장, 윤진식 한국무역협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최진식 한국중견기업연합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이 참석했다. 안덕근 산자부 장관과 이형일 기재부..

내란특검 조은석·김건희특검 민중기·채상병특검 이명현 지명
내란특검 조은석·김건희특검 민중기·채상병특검 이명현 지명

이재명 대통령이 내란 특별검사로 조은석 전 감사원장 권한대행을, 김건희 특검은 민중기 전 서울중앙지법원장, 채상병 특검은 이명현 전 국방부 검찰단 고등검찰부장을 지명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이 특검을 추천한 지 8시간이 안 된 12일 오후 11시 9분 전후에 지명을 완료하면서 3대 특검팀 출범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조은석 특검과 민중기 특검은 민주당이, 이명현 특검은 혁신당이 추천했다. 전남 장성 출생으로 광덕고와 고려대를 졸업한 조은석(65년생·사법연수원 19기) 특검은 박근혜 정부에서 대검찰청 형사부장과 청주지검장, 문..

코스닥 상승 견인하는 대전 상장기업…시총 63조 원 돌파
코스닥 상승 견인하는 대전 상장기업…시총 63조 원 돌파

국내 주식시장이 최근 상승세를 타면서 대전의 상장기업 시가총액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최근 3년간 지역의 상장기업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시총 규모도 63조 원을 돌파했다. 이는 충청권 상장기업 전체 시총의 절반에 육박한다. 대전에 본사를 둔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신약개발 기업 인투셀이 지난달 23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면서 지역 상장기업 수는 66개로 늘었다. 2015년 설립한 인투셀은 리가켐바이오 공동 창업자 박태교 대표가 설립한 회사로, 창업 10년 만에 코스닥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인투셀은 상장 첫날 공모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

  • ‘선생님 저 충치 없죠?’ ‘선생님 저 충치 없죠?’

  • ‘고향에 선물 보내요’ ‘고향에 선물 보내요’

  • 대전에서 잡(JOB)는 내일 대전에서 잡(JOB)는 내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