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7. 대전 유성구 온천1동 인근 파스타·스테이크

  • 경제/과학
  • 지역상권분석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7. 대전 유성구 온천1동 인근 파스타·스테이크

해당 상권 파스타·스테이크 업종 수 2곳으로 줄곧 유지
월 평균 매출 2000만원대로 1년 전보다 점차적인 상승
남성이 여성보다 매출 높아... 30·40대 연령 공략 승산

  • 승인 2025-05-21 18:33
  • 신문게재 2025-05-22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그림판11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7. 대전 유성구 온천1동 인근 파스타·스테이크



직장인 신 모(41) 씨는 알아주는 고기 마니아다. 두툼한 스테이크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굽는다. 소고기 겉면을 마이아르 반응이 제대로 나올 때 까지 구워주고 잠시 레스팅을 한다. 그가 설정한 시간이 흐르고 도마 위에 올려 자르면 살짝 핏기가 도는 그만의 스테이크가 완성된다. 신 씨는 자신만의 스테이크 굽기 시간을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완성했다. 그가 선정한 소금과 와사비를 준비해 적당히 찍어 입안에 넣으면 그날의 피로는 한순간에 달아난다. 고기만으로 배가 차지 않을 땐 그의 주특기인 알리올리오 파스타를 곁들여 먹는다. 입안이 느끼해졌을 땐 미리 준비한 레몬과 얼음에 탄산음료를 가득 따라 들이킨다. 그는 외식 요리 자격증을 취득했을 정도로 요리에 대해선 일가견이 있다. 그중 최고는 스테이크와 파스타다. 작지만 감성이 있는 스테이크 전문점을 차리고 싶다. 작지만 맛으로 승부를 보는 그런 가게를 차리는 게 그의 제2의 인생 도전이다. 그의 고민을 덜어주자.



▲경쟁자는 얼마나=그가 원하는 대전 유성구 온천1동 일대 상권 파스타·스테이크 업소 수는 2025년 2월 기준 2곳으로, 1년 전과 같다. 유성구 전체로 놓고 보면 2024년 2월 26곳에서 2025년 2월 24곳으로 2곳 줄어들었다. 대전 전체로도 이 기간 84곳에서 72곳으로 12곳 감소했다. 해당 상권에선 크게 줄거나 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업력을 유지한다는 건 그만큼 상권에서 해당 업종이 먹혀들고 있다는 뜻이다. 주요 방문 고객과 연령대 등을 파악한다면 충분한 승산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매출은=그가 가장 궁금하던 매출은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2025년 2월 기준 월 평균 매출액은 2057만원으로, 1년 전(1875만원)보다 올랐다. 2024년 11월 1562만원까지 주저앉았던 적이 있었으나 금세 2000만원대를 회복했다. 유성구 전체 매출도 2024년 2월 2104만원에서 2025년 2월 2498만원으로 증가했으며, 대전 전체도 이 기간 1350만원에서 1532만원으로 올랐다. 파스타·스테이크 업종이 전체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는 건 그만큼 찾는 소비자가 많다는 뜻이다. 매출은 주중과 주말이 비슷했다. 주중엔 평균 341만원, 주말은 335만원이다. 주중엔 금요일이 459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목요일 388만원, 월요일 298만원, 화요일 285만원, 수요일 273만원 순이다. 주말엔 토요일이 407만원이었고, 일요일은 263만원이다.



▲주요 고객층과 방문 시간대는=주요 고객층은 남성이 월 평균 1127만원으로 여성(825만원)보다 높았다. 통상 파스타·스테이크는 여성들의 매출이 더 많다고 생각되지만, 남성이 여성을 앞질렀다. 다만, 데이트장소로 주로 분류되는 업종 특성상 남성이 계산을 했을 확률이 커 남성이 여성매출을 뛰어넘었을 가능성이 있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590만원의 매출을 올리며 전체 연령대중 1위였다. 이어 40대 473만원, 20대 387만원, 50대 336만원, 60대 142만원 순이다. 30·40대의 매출이 잘 나오는 편이기 때문에 이들의 수요에 맞춘 가게를 운영한다면 높은 매출을 자랑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매장 방문 시간대별로 보면 업종 특성상 저녁에 많이 몰렸다. 오후 6시부터 밤 11시가 1164만원이었고 오전 12시~오후2시 616만원, 오후 2시~6시 438만원, 오전 9시~12시 147만원 등이다.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으로 분류되는 상권 유동인구는 2025년 2월 9만 4854명으로 1년 전(8만 48명)보다 월등하게 늘었다. 점차적으로 상권이 활발해지고 있다는 뜻이다. 성별로는 남성이 5만 5092명으로 여성(3만 9762명)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이 2만 4282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1만 9342명, 40대 1만 8563명, 30대 1만 4581명, 20대 1만 3831명 순이다. 요일별로는 주중이 10만 803명으로 주말(7만 9983명)보다 많았다. 주중엔 9만명대 후반에서 10만명대 초반이 다양하게 분포됐고, 주말은 토요일과 일요일이 각 8만, 7만명대로 저조한 모습이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2시~6시가 2만 3771명으로 가장 많았고, 오후 6시~11시가 2만 3549명, 오전 9시~12시 1만 5151명, 오전 5시~9시 1만 2123명, 낮 12시~오후 2시 1만 1210명 등이다. 그의 창업에 작은 보탬이 됐길 바란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문화동 국방부 땅 매각 검토될듯…꽃마을엔 대체부지 확보 요청도
  2.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3. 李정부, 해수부 논란에 행정수도 완성 진정성 의문
  4.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5.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1.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2.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3.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4.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5. 지역정책포럼 '이재명 정부 출범과 지역과제' 잡담회 개최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해수부 이전 지방선거 메가톤급 뇌관되나

李정부 해수부 이전 지방선거 메가톤급 뇌관되나

이재명 정부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이 채 1년도 남지 않은 제9회 지방선거를 흔드는 메가톤급 뇌관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탈(脫) 세종이 현실화되면 직접적 타격을 입는 충청권을 넘어 인천, 호남까지 연쇄 충격파가 우려되면서 전선확대가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는 16일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앞으로 5년간 국정 청사진을 제시할 국정기획위원회 1차 전체회의를 갖고 본격 가동에 착수했다. 이 대통령의 PK 대표 공약이었던 해수부 부산 이전도 조만간 구체화 될 전망이다. 대통령실에선 경제성장수석 산하에 신설되는 해양수산..

"팔지도 않은 집에 세금을?" 대전 재초환 둘러싸고 `설왕설래`
"팔지도 않은 집에 세금을?" 대전 재초환 둘러싸고 '설왕설래'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를 둘러싸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대전에선 올해 입주한 서구 용문1·2·3구역 '둔산더샵엘리프' 재건축 사업이 적용대상으로 꼽히면서 반발이 커지고 있다. 1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재건축 부담금 부과 예상 단지는 전국 58곳으로 집계됐다. 이중 대전에선 용문1·2·3구역이 유일하다. 재초환은 재건축으로 얻은 초과 이익이 조합원 1인당 8000만 원이 넘으면 초과 이익의 최대 절반을 부담금으로 환수하는 제도다. 이를 두고 용문1·2·3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은 재초환 제도에 대해 강한 불만을 제..

[대입+] 문과 침공 현실화… 인문계·교대 합격생 절반 이상이 `이과생`
[대입+] 문과 침공 현실화… 인문계·교대 합격생 절반 이상이 '이과생'

2025학년도 대학 정시모집에서 인문계 학과와 교대 정시 합격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수학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수험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학년도 통합수능 도입 이후 수학 선택과목 간 표준점수 차이로 인해, 자연계열 수험생들이 인문계 학과에 대거 교차 지원하면서 발생한 이른바 '문과 침공' 현상이 본격화된 결과로 분석된다. 15일 종로학원 분석결과 수도권 주요 17개 대학(서울대·고려대 등 비공개)의 인문계 학과 340곳 중 정시 합격생 가운데 55.6%가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수험생으로 나타났다. 수학..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