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통상리스크 대응에 28.6조 정책금융 공급… 지역 피해기업 '숨통 트이나'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정부, 통상리스크 대응에 28.6조 정책금융 공급… 지역 피해기업 '숨통 트이나'

관세 피해기업 16.3조, 시장 다변화 7.4조, 설비투자 4.9조 등 금융지원
애로신고는 대전.세종 15건, 충남 15건 집계… 충남은 실제 피해기업 나와

  • 승인 2025-05-21 18:33
  • 신문게재 2025-05-22 5면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정부가 통상리스크 대응을 위해 28조6000억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공급한다. 이중 관세 피해기업에 긴급 경영자금 16조3000억원이 집중 지원돼, 미국의 갑작스런 고율 관세 부과에 피해를 입은 지역기업들의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21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관계부처 합동 통상 리스크 대응 금융지원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미국의 반도체·의약품 상호관세 부과 가능성이 커진 상황에서 수출기업의 경영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GYH2025052100030004400_P4
먼저 관세 피해 기업에 긴급한 위기극복 자금으로 16조3000억원이 투입된다. 금융기관의 낮은 금리로 통상리스크 대응 긴급자금, 저리 운영자금,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이를 통해 정부는 중소기업의 피해 확산을 막고, 자금 유동성 확보를 통한 경영안정을 지원할 방침이다. 또한 신규 수출시장 진출 기업에는 7조4000억원의 융자·보증을, 첨단사업 설비투자와 주력산업 재편에는 4조9000억원을 각각 공급한다. 이들 정책금융에는 추경예산 1조5000억원이 투입된다.

아울러 정부는 이날 '산업·통상환경 변화 대응 추진 경과와 향후 추진 계획'도 점검했다. 미국의 반도체·의약품 관세부과 방안이 구체화할 시 '미 관세대응 반도체·의약품 산업 대응방안'(가칭)을 신속히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정부의 정책금융지원으로 지역기업들 역시 조금이나마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실제 지역에서는 관세 피해가 점차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대전·세종·충남에서는 현재까지 총 30건의 관세 피해 애로신고가 접수됐으며, 특히 충남에서는 미국 업체와 DDP(Delivered Duty Paid) 계약을 맺은 한 자동차 부품업체가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DDP계약이란 수출업자가 판매하는 물품이 구매자인 수입업자에게 인도되기 전까지 발생하는 모든 위험을 부담하는 조건의 계약이다.

충남중기청 수출센터 관계자는 "현재까지 관세 애로신고는 15건이 접수됐으며, 미국의 상호관세에 직접적인 피해를 본 기업도 있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해당 기업은 생산제품의 90%이상을 미국으로 수출하는 기업이었는데, DDP계약으로 인해 관세 부담을 모두 떠안아야 하는 위기에 놓인 상황이었다"면서 "이에 충남중기청은 기업 구제를 위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정책자금을 패스트트랙으로 지원받을 수 있도록 조치했다"고 덧붙였다.

대전·세종 역시 15건의 애로신고가 접수됐다. 대전·세종중기청 수출지원센터 관계자는 "아직 직접적인 피해 신고는 없지만, 관세 부담 전가 문제로 수출업자와 수입업자 간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며 "애로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신속하게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3.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4.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5.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1.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2.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3.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4. 대전선화초 증축사업 시작… 220억 들여 2026년 8월 준공
  5. 대전 대덕구, 보건복지부와 함께 '통합돌봄'의 미래 모색

헤드라인 뉴스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과학수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이 있는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돼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충청권 국회의원들까지 공동 발의자로 참여하면서 공동 대응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국민의힘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은 17일 우주항공청 소재지인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분야 연구개발과 산업기능을 연계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관련 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 인근에 소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의 공동주택 노후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부동산R114가 정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30년 초과 노후주택은 260만 6823채로 전체의 22%로 나타났다. 즉 전국 주택 4채 중 1채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 주택은 2022년 135만 9826채(12%), 2023년 170만 5215채(15%), 2024년 219만 4122채(18%)로 꾸준히 늘..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충청권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중 환불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해 캠핑장을 예약하기 전 날씨와 환불 규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접수된 캠핑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327건) 중 환불 불만 사례가 246건으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48.1%(157건)로 가장 많았고, 대전·세종·충청이 15.7%(51건), 강원 12.9%(42건), 부산·울산·경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