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청사. 사진제공은 대전시 |
다만 AI나 에너지 관련 산업 육성에 대한 고민은 필요해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은 22일, 취임 후 처음 주재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서 내년도 R&D 예산안을 의결하며 '국가 미래를 위한 과감한 결단'이라고 설명하면서 올해보다 약 5조 7000억 원, 19.3% 가까이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 예산 책정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내년 정부의 R&D 예산 확대는 '과학도시 대전' 입장에서는 득이다. 앞서 7월 이 대통령이 대전을 방문해 가진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 타운홀미팅에서 "여기 대전은 과학중심 도시인데, 이전 정부가 황당무계한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을 하며 폭격을 맞은 지역이다"이라고 "이제는 인공지능(AI)을 포함한 첨단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그 중심에 R&D와 인재 양성이 있어야 한다"면서 지원을 약속한 바 있다.
국가 출연연이 밀집한 대전으로서는 정부의 내년도 R&D 예산 확대가 반갑다. 예산 확대로 '과학계 카르텔'로 낙인찍혀 자긍심에 상처를 입고, 보릿고개까지 겪었던 대전의 연구 기관, 인력도 한시름 놓게 됐다. 여기에 기술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지역경제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전망이다. 대전은 연구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바이오헬스, 국방, 로봇, 우주, 양자, 나노반도체 등 6대전략 산업을 중심으로 발전 전략을 마련했다.
반면, 대전시는 정부가 강조한 AI와 에너지 관련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인공지능(AI) 분야 예산은 2조 3000억원으로 올해보다 2배 이상(106.1%) 불어난다. 정부는 독자적 AI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풀스택(통합형) R&D에 집중할 방침이다. 에너지 분야에는 올해보다 19.1% 늘어난 2조 6000억원을 투입한다. 재생에너지를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초고효율 태양전지, 초대형 풍력 시스템 등을 조기에 실증한다.
대전시는 이들 산업에 취약한 편이다.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정부가 성장 방향을 AI와 에너지에 집중하고 있는 만큼 이들 산업에 대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AI산업은 현재 대전이 집중하고 있는 6대 전략 산업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만큼 융복합 관련 대응이 절실하다.
지역 경제계 한 인사는 "과학도시 대전은 국가 R&D의 중축으로 관련 예산이 늘어나면 당연히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될 수 밖에 없다"면서도 '다만, 산업으로 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각 지자체별로 집중하는 첨단산업이 있는 만큼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정부의 과학기술정책 방향에 맞춰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