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미술 아카이브
2024-12-30
1979년 12월 8일에서 12일까지 대전문화원화랑에서 《제45회 한국미술협회대전지부전》이 개최됐다. 대전문화원 초대와 충청화방 후원으로 개최된 이 전시회는 동양화(한국화), 서양화, 조각, 서예, 공예 분야의 협회 회원 75명이 참가했다. 1953년 대전·충남지역에..
2024-12-25
대전시립미술관은 연 1회 연구집을 발간한다. 최근에는 <소장품 연구논문집>으로 전환해 미술관 컬렉션을 보다 다각적이면서도 면밀하게 연구하고 있다. 2016 대전시립미술관 연구집> 개관 이후 일곱 번째 발간된 연구집으로 크게 전시, 소장품, 어린이미술 연구로 나뉘어 총..
2024-12-23
대전시립미술관《임동식_동방소년탐문기》(2016)는 '그림'에 대한 작가 임동식의 생각과 여정, 그리고 그가 궁극적으로 추구한 세계와 예술론을 살핀 전시였다. 전시의 타이틀은 소년과 같은 호기심으로 자연과 인간, 창작의 본질을 끊임없이 묻고 수행하는 임동식의 예술론에 주..
2024-12-18
1974년 2월 28일부터 3월 4일까지 경암삘딩화랑에서 《제1회 홍대동문전》이 개최됐다. 대전에서 활동하던 홍익대학교 미술학과 동문들이 모여 개최한 이 전시에 참여한 작가와 그 면모를 살펴보면 권영우(미로화실 운영), 남상명(신탄진 중앙중 교사), 박명규(충남공고 교..
2024-12-16
1978년 5월 17일부터 21일까지 대전문화원화랑에서 《기획 판화전》이 개최됐다. 송진섭, 유근영, 유병호, 이윤구, 이종협, 정장직, 홍명섭이 참가한 이 전시의 서문에는 "모든 존재자와의 상관(相關)이 이룩하는 제반의 현상 그 자체가 목적일 수는 없다"라는 철학적..
2024-12-11
여러 차례 언급한 바와 같이 2000년대 초반부터 이어져 온 대전시립미술관의 과학예술 프로젝트는 다양한 연구, 전시 등을 거치며 국내 '과학예술'을 선제적으로 이끌었다. 그리고, 마침내 2018년 정식 비엔날레로 거듭났다. 첫 회의 주제는 바이오(Bio)로 선정했다...
2024-12-09
인류가 건설한 문명은 생명의 기원과 우주의 실체에 대한 인간의 끝없는 의문에서 비롯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대전시립미술관《프로젝트대전 2016 : 코스모스》는 미지의 우주에 대해 과학이 도전했던 영역에 대한 탐색으로 시작됐다. 첫 번째 섹션 <우주 역사와..
2024-12-02
1976년 11월 3일에서 8일까지 5일간 대전문화원 화랑에서 《10인초대작가전》이 개최됐다. 사단법인 대전문화원 주최로 개최된 이 전시에는 서양화 부분에 이인영, 김철호, 이남규, 김수평, 동양화에 조평휘, 김세원, 서예에 정인용, 이곤순 그리고 사진에 성재경, 정헌..
2024-11-27
《넥스트코드 2016 : 모험도감》(2016)은 '젊음'을 고민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했다. 1999년 '전환의 봄'으로 시작한 이래 대전시립미술관의 청년작가지원전은 다양한 형식과 형태를 거쳐 젊은 작가들을 인큐베이팅해 온 차였다. 과연 '젊은 예술가'들이 누구인지, 그들..
2024-11-25
《한국근현대미술특별전 : 세기의 동행》(2015)은 19세기 후반 장승업과 그의 제자들로부터 출발하여 구한말과 식민지 시대를 거쳐 분단과 전쟁, 경제개발과 민주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나타난 한국미술사조와 흐름을 대표작가 67인의 작업을 통해 전개했다. 전시의 타이틀은 역..
2024-11-20
1973년 11월 25일에서 12월 10일까지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 학생회관에서 《제22회 국전 대전 전시》가 개최됐다. 문화공보부의 주최와 예총충남지부의 주관으로 진행된 이 전시는 지방순회전으로 제22회 국전(대한민국미술전람회의 약칭)의 각 분야별(동양화 구상, 동양화..
2024-11-18
1977년 10월 16일에서 23일까지 대전문화원 화랑에서 《백제문화제 미술작품전》이 개최됐다. 대전시백제문화선양위원회 주최로 개최된 이 전시는 한국미술협회 충남지부 주관으로 임봉재(한국미술협회 충남지부장)를 비롯하여 40명이 참가하였다. 참여작가 전체가 충남미술협회..
2024-11-13
<아티스트프로젝트>는 과학기술을 예술적 실천의 매개이자 과정으로 삼고자 시작된 프로젝트였다. 참여작가들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과학자들과 실제로 함께 작업하며 과학과 예술의 협업 가능성을 타진하는 한편, '과학예술'이라는 키워드에 집중해 다양한 창작활동을 지원받았다. 이는..
2024-11-11
2015년 대전시립미술관은 대전·충청 미술연구 확장 사업의 일환으로 <작고작가 회고전>을 시작했다. 《김기창-혁신의 거장 운보》(2015.3.7. - 4.19)는 운보 김기창의 삶과 작업을 조명하고 이를 통해 한국 근대미술이 현대로 이행하는 과정의 한 단면을 살핀 전시..
2024-11-06
1971년 6월 13일에서 22일까지 8일간 대전문화원에서 《제1회 일요스케치회전》이 개최됐다. 김배히, 김여성, 김영재, 김재권, 김치중, 백승철, 안수복, 윤동원, 이영수, 지형민이 참가한 이 전시회에는 회화작품 25점이 출품됐다. <개나리>, <초봄의 복숭아>,..
2024-11-04
1972년 6월 20일에서 25일까지 6일간 대전예총화랑에서 《창립 청미회전》 이 개최됐다. 김배히, 김여성, 김치중, 박명규, 이인영, 이종수, 이명자, 이영수, 임봉재, 임립, 조영동 등 대전화단의 기성작가들과 서울에서 대학을 마치고 대전에 정착한 젊은 작가들이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