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영준 대전시 도시주택국장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기적 접근뿐만 아니라 장기적 접근이 모두 필요하다. 우선 단기적 해결방안으로는 주차 공간 확보, 대중교통 확충, 주택 공급 확대 등의 조치를 통해 현재 발생하는 불편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도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압축도시(Compact City)'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대전시는 올해 초 '대전광역시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 일부 개정안을 발표하며, 도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도심 내 주차 공간 부족은 심각한 문제 중 하나로, 이는 교통 체증을 가중시키고 시민들의 불편을 초래한다. 특히 주차 공간이 부족할 경우 불법 주정차가 증가하며, 이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도심 내 교통 흐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대전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단기적 방안으로, 법적 기준 이상의 주차장을 확보하는 개발자에게 획기적인 수준의 용적률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이를 통해 민간 개발자들이 주차장 조성에 적극 나설 것으로 기대되며, 주차 공간을 고밀·지하화하거나 건물 내 주차장을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방안을 적극 도입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는 결국 주차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주차장 확대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달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동차 중심의 도시 구조에서 벗어나, 대중교통과 보행 중심의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특히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고 도심 내 차량 진입을 줄이는 것이 장기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다. 이에 대전시는 '대전드림타운' 사업 범위를 확대하고, 용적률 체계를 개편하여 역세권 지역의 고밀개발을 촉진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대전드림타운' 사업은 대전의 구도심 역세권 상업지역에서 임대주택 기부채납 시 국토계획법상 용적률까지 개발이 가능하도록 한 사업이다. 기존에는 도시철도역 출입구 반경 250m 범위 내에서만 사업이 가능했으나, 이번 개정안을 통해 이를 반경 350m까지 확대했다. 또한 용적률 체계를 개편하여, 기반시설 기부채납을 통해 국토계획법상 용적률까지 개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했다. 이러한 변화는 역세권 지역을 중심으로 주거·상업·업무 기능을 집약시키고, 대중교통 이용률을 증가시키며, 도심 교통 체증 완화와 보행 친화적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이다. 도시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책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공감대 형성이 필수적이다. 대중교통 중심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보행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도시 계획의 기본적인 방향이지만, 이러한 변화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이용 활성화와 협력이 필수적이다.
결국 지속 가능한 도시는 단순한 계획만으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의 공감과 참여 속에서 살아 숨 쉬는 공간으로 변화해야 한다. 대전이 대중교통 중심의 인프라와 보행 친화적 환경을 성공적으로 구축한다면, 이는 단순한 도시 발전을 넘어 대한민국의 미래 도시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이제 중요한 것은'압축도시(Compact City)'구축을 위해 마련된 정책을 실천하고, 변화를 체감하는 것이다. 지속 가능한 도시의 미래는 바로 지금, 우리가 만드는 선택에 달려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