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대통령이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타운홀 미팅 형식으로 열린 '국민소통 행보 2탄, 충청의 마음을 듣다'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대전충남사진공동취재단] |
출범 초부터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으로 지역이 발칵 뒤집힌 데 이어 초대 1기 내각 인사에서도 충청 홀대가 나타나면서 이재명 정부의 '충청패싱'이 현실화되고 있는 게 아니냐는 반발이 터져 나왔다.
다만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청사진을 그린 국정기획위원회의 세부 추진 과제에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과 대전·충남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 등 지역발전에 필요한 주요 현안들이 포함됐고, 최근엔 충청 출신 여야 당 대표도 탄생하면서 기대감도 적지 않게 감지된다.
11일로 출범 100일을 맞는 이재명 정부는 그동안 충청에 실망과 분노, 기대와 희망을 동시에 안겼다. 무엇보다 출범 초 내린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준비 지시는 충청권에 날벼락이었다. 당장 야당인 국민의힘 소속 충청권 시·도지사가 공동으로 반대 입장을 피력했고, 국민의힘은 시·도당은 결의대회와 규탄 성명으로 연일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현 정부에 대한 비판 여론을 조성하기 위한 정치 공세라는 지적도 있었지만, 해수부 이전이 국토균형발전의 중심지이자 상징 자체인 세종시와 충청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건 사실이라는 현실적인 진단도 적지 않았다.
이후 이재명 대통령이 7월 4일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진행한 타운홀 미팅에서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재확인하면서 지역 차원의 실망감은 더욱 쌓여갔다.
1기 내각인 19개 부처 장관 인사에서도 충청 홀대는 나타났다. 현재 충청 출신이라곤 송미령(충남 논산)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뿐이며, 이마저도 윤석열 정부 때 임명된 인사다.
앞서 이진숙(대전) 전 충남대 총장은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서 지명 철회됐고, 다시 지명된 최교진(충남 보령) 전 세종시 교육감은 국회의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을 기다리는 중이다. 초대 비서실장으로 강훈식(충남 보령) 전 국회의원이 낙점됐다지만, 충청 출신 인사 홀대에 따른 아쉬움이 큰 건 사실이다.
이재명 정부에 대한 충청권의 실망과 반발은 국정기획위원회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 발표 이후 분위기가 반전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17개 시·도별 7대 공약, 15대 추진과제를 제시했는데, 충청권의 경우 혁신도시 완성과 국회 세종의사당 및 대통령 제2집무실 조기 완공,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적기 착공 등이 담겼다.
광역권뿐만 아니라 서대전역 복합환승센터 개발 추진, 수소트램(대전 2호선) 조기 개통, 세종시 전역에 살기 좋은 정주여건 조성, 가로림만 해양정원 조성 등 지역별로 세부적인 사안들도 담겨 지지부진했던 현안들이 본궤도에 오를지 기대감이 높은 상황이다.
여기에, 더불어민주당 정청래(충남 금산), 국민의힘 장동혁(충남 보령) 여야 충청 출신 대표 체제가 출범하면서 충청 현안 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추진력을 높이기 위한 지역 차원의 초당적인 결집과 세부 로드맵 마련이 시급하단 주문이 나온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