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한정애 정책위의장이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대전·세종·충북·충남 예산정책협의회에서 해당 지역 출신 의원들과 기념촬영 하고 있다. |
충청권 의원들은 세종시로 추가 정부 부처 이전을 당 지도부에 건의했고 윤석열 전(前) 정부 3년간 지역 발전이 정체돼 있었다고 강력 성토하기도 했다.
충청권을 첫 예산정책협의회 대상지로 선정하고 보수 야당을 정조준한 이같은 여당의 행보는 내년 지방선거를 8개월 앞둔 시점에서 최대 격전지 금강벨트에서 승기를 잡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정청래 대표는 이날 "내년 정부 예산안에 충청권은 28조원이 반영됐다. 대전은 확실한 첨단 연구 거점으로 혁신성장의 고향이 되도록 지원하겠다"며 "세종은 행정수도 기능을 넘어 교육문화 국제교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이재명 정부 첫 예산은 회복과 성장을 위한 것이다"며 "씨앗을 빌려서라도 뿌려야 할 때라는 대통령님 말씀에 국민이 주인인 나라를 만들기 위한 본질이 담겨 있다"고 충청권 지원을 약속했다.
충청 여권에선 지역 현안 관철을 촉구했다. 조승래 사무총장(대전유성갑)은 "여가부와 법무부 등 굳이 서울에 있지 않아도 될 기관들에 대해서 과감하게 충청도로 이전 세종을 행정수도로 완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결정으로 지역 민심에 생채기가 난 가운데 충청권을 명실상부한 국가행정 중심지로 육성하겠다는 이재명 정부의 의지를 천명해 달라는 발언으로 풀이된다.
박정현 대전시당위원장(대전대덕)은 "이재명 정부는 대전을 과학수도로 발전시키고 혁신도시를 완성하겠다는 명확한 목표를 제시했고 최근 35조 3000억원이라는 사상 최대 규모의 연구개발 예산을 편성했다"고 감사 표시를 했다.
문진석 충남도당위원장(천안갑)은 "20년째 임시로 운영되는 천안역사를 새롭게 건립하고 도로망과 의료인프라 확충, 문화체육 생활권 보장사업 등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이광희 충북도당위원장(청주서원)은 ▲충주댐 수열 에너지 특화단지 조성 ▲청주공항 국제선 여객터미널 확장 ▲정착형 스마트팜 단지조성 ▲남청주 현도 산업단지 사업 등의 지원을 촉구했다.
강준현 세종시당위원장(세종을)은 "세종지방법원 설치법이 작년 9월 통과됐음에도 2025년 예산에 반영되지 않았다"며 "내년 예산에 기본설계비 10억원, 부지매입비 80억원 등 90억원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예산정책협의회에선 지도부와 충청권 의원 가릴 것 없이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이 장악한 충청권 지방정부를 맹폭하기도 했다.
정청래 대표는 "윤석열 정권에서 충북 오송 참사 R&D 예산(삭감) 참사, 독립기념관 역사참사 등 세 가지 참사가 있었다"고 각을 세웠다.
박정현 의원은 "윤석열 정부 3년과 이장우 시장 임기 동안 대전발전은 멈춰서 있었다"고 주장했다.
문진석 의원은 "김태흠 (충남)지사가 임명한 전희경 충남연구원장이 정치활동을 하면서 개인의 영달을 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이는 충남의 역사와 미래를 가볍게 여기는 행태"라고 꼬집었다. 전 원장은 뉴라이트 역사관 논란을 빚은 인물이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