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태흠 지사가 스마트팜 운영 현장을 방문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충남도 제공 |
충남의 농업 경쟁력과 ICT 기술력을 결합한 스마트팜이 세계 시장 진출에 순항을 이룰지 관심이 쏠린다.
7일 충남도에 따르면 도는 내년도 정부 예산에 스마트팜 수출지원센터 건립비용 지원을 공식 건의했다. 도는 이 같은 건의가 받아들여질 경우, 총 450억 원(국비 225억·도비 225억)을 투입해 2026년부터 2028년까지 3년간 센터 건립에 착수할 계획이다.
센터는 스마트팜 홍보 및 글로벌 비즈니스 지원과 수출 전문인력 양성, 전문경영 교육을 위한 커뮤니티형 플랫폼 등 스마트팜 수출 전반을 지원하는 역할이다.
센터 건립을 통해 스마트팜 산업의 표준화를 앞당기고 수출 산업화를 본격화한다는 게 도의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내 스마트팜 조성 기술을 갖춘 기업의 해외 판로 확대와 전문인력 해외 파견 등 글로벌 농업전문가 양성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내다봤다.
도는 현재 기후변화와 식량안보 위기, 청년농 부족 문제로 인해 스마트농업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에 생산성과 지속가능성을 앞세운 첨단 농업기술을 대안으로 꼽은 것이다.
문제는 정부의 예산 반영 여부와 경제성 확보가 가능하냐는 점이다.
도가 요청한 225억 원의 국비가 확보되지 못하면 사업 추진의 지연이나 축소는 불가피하다. 또 스마트팜 시공을 맡는 기업이 지속성 있는 수익 창출을 이끌 수 있을지도 관건이다.
동남아 등 환경이 다른 국가에 수출을 계획하고 있는 도는 국내 기술력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도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그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모두 갖춰져 있어 엄청난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개발도상국에 수출할 땐 유리 온실에 대한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어 비닐하우스까지 포함하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비 확보에 대해서도 해당 센터의 필요성을 꾸준히 알리며 내부적으로 구체화 과정을 거치겠다고 설명했다.
도 관계자는 "ICT 등 스마트농업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에도 전문적이고 체계적 수출 지원이 부족한 상태"라며 "스마트팜 온실 시공부터 데이터 분석 센서 등 K-스마트팜을 지향하고 있는 현 정부 정책 방향과 부합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수출지원센터 내 홍보관을 통해 해외 바이어가 방문했을 때 한국형 스마트팜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패키지 공간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내포=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