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상의, 지난 해 수출현황은?

  • 전국
  • 부산/영남

구미상의, 지난 해 수출현황은?

경북수출 401.6억 달러, 구미수출 209.8억 달러

  • 승인 2025-04-03 16:41
  • 김시훈 기자김시훈 기자
구미상공회의소
구미상공회의소. 구미상의
구미상공회의소 경북 FTA 통상진흥센터는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와 한국무역협회 K-STAT, 구미상공회의소 무역통계자료를 바탕으로 '2024년 경북도와 구미 수출 현황'을 분석했다.

지난해 경북도 수출은 401.6억 달러로 전년(408.6억 달러) 대비 1.7% 감소했으며, 수입액은 180.9억 달러로 전 년(209억 달러)대비 13.5% 줄었다.

수출이 줄었음에도 수입이 더욱 감소함에 따라 무역수지는 220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199.4억 달러) 대비 10.7%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구미가 209.8억 달러(전 년 대비 5.2% 증가)로, 경북 전체 수출의 52.3%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이어 포항이 92.2억 달러, 영주 20.3억 달러, 경산 17.8억 달러 순으로 집계됐다.



품목별로는 전자기기(85류)가 157.7억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경북 전체 수출의 39.3%를 점유했다.

특히 구미에서만 144.2억 달러(91.4%)를 수출하며 경북 내 전자기기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전자기기 다음으로 철강(72류) 62.6억 달러, 기계(84류) 25.8억 달러가 뒤를 이었다.

지역별 최대 수출품목으로는 구미와 경주는 전자기기(85류)가 가장 많았으며, 포항과 고령은 철강(72류), 칠곡과 의성은 기계(84류), 영주는 알루미늄(76류), 경산과 영천은 일반 차량·차량부품(87류), 김천과 문경은 플라스틱(39류) 등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트럼프 행정부의 보편 및 상호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전자기기(HS 85류) 수출이 주 품목인 구미를 비롯해 경주, 그리고 철강·알루미늄 수출 비중이 높은 포항, 고령, 영주 지역이 가장 큰 피해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경산과 영천도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부과에 따라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 됐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2025년 4월 3일 한국을 포함한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 25%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며 이에 따라 관세 외에도 비관세 장벽확대 등 간접 수출제약도 함께 우려되고 있다.

경북지역 분기별 FTA 활용률은 1분기 90.2%, 2분기 89.9%, 3분기 89.5%, 4분기 89.4%를 기록하였으며, 화학공업 제품의 FTA 특혜 대상 수출액과 수출 활용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미의 5대 수출 상위품목은 연도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지만 전자기기, 기계류, 플라스틱, 화학공업 생산품, 무기화합물로, 이들 품목의 수출액은 181.9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미시 전체 수출의 86.7%, 경북 전체 수출의 45.3%를 차지하며, 구미가 경북 지역 수출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하고 있음을 보였다.

경북상공회의소협의회·구미상공회의소 윤재호 회장은 "2024년 경북 수출은 소폭 감소 했지만 무역수지가 개선되는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라며 "특히 구미를 중심으로 한 전자기기가 경북 수출의 핵심인 만큼 전자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이 향후 수출 확대의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미국의 관세 부과로 전자기기와 철강·알루미늄, 자동차·부품 등 경북지역 주요 수출 품목들이 직·간접적인 타격을 입는 만큼 정부와 지자체의 맞춤형 핀포인트 지원과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구미=김시훈 기자 silim5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T&G '제17회 대단한 단편영화제' 출품작 공모
  2. 천안법원, 음주운전 집유 선고 전력 40대 남성 ‘징역형’
  3. 신용보증기금, '대장~홍대 광역철도 사업' 7000억 원 규모 보증 지원
  4.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화려한 개막…4일까지 계속
  5. 서철모 서구청장, 릴레이 캠페인으로 인구문제 관심 호소
  1. 대전 둔산동서 음주운전으로 행인 3명 친 20대 검거
  2. "옛 대전부청사 지역가치 혁신가 위한 무대로" 복원 후 활용 제안
  3.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명상정원’
  4. 민주당 천안을지역위원회, 압도적인 21대 대선 승리 위한 결의 다져
  5. 국민이 보는 지역균형발전… '지방 생활 인프라 확충' 가장 필요

헤드라인 뉴스


한폭의 그림같은 ‘명상정원’… 온가족 산책과 물멍으로 힐링

한폭의 그림같은 ‘명상정원’… 온가족 산책과 물멍으로 힐링

본격적인 연휴가 시작됐다.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들과 국내외로 여행계획을 잡았거나 지역의 축제 및 유명 관광지를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그에 반해 인파가 몰리는 지역을 싫어해 여유롭고 한가하게 쉴 수 있는 곳, 유유자적 산책하며 휴일을 보내고 싶은 사람들에게 어울리는 곳이 있다. 바로 대청호 오백리길 4구간에 위치한 명상정원이다. 명상정원은 대청호 오백리길 4구간인 호반낭만길을 지나는 곳에 위치해 있다. 차량을 이용한다면 내비게이션에 명상정원 한터주차장을 검색하면 된다. 주차장에서는 나무데크를 따라 도보로 이동해야 한다...

`벼락 맞을 확률` 높아졌다…기후변화에 장마철 낙뢰 급증
'벼락 맞을 확률' 높아졌다…기후변화에 장마철 낙뢰 급증

지난해 대전 지역에 떨어진 벼락(낙뢰)만 1200회에 달하는 가운데, 전년보다 4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로 낙뢰가 잦아지면서 지난 5년간 전국적으로 낙뢰 사고 환자도 잇달아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3일 기상청 '2024년 낙뢰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대전 지역에서 관측된 연간 낙뢰 횟수는 총 1234회다. 앞서 2021년 382회, 2022년 121회, 2023년 270회 낙뢰가 관측된 것과 비교했을 때 급증했다. 1㎢당 낙뢰횟수는 2.29회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같은 해 충남에서도 전년(3495회)에 약 5배..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대청호 오백리길 ‘명상정원’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대청호 오백리길 ‘명상정원’

본격적인 연휴가 시작됐다.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들과 국내외로 여행계획을 잡았거나 지역의 축제 및 유명 관광지를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그에 반해 인파가 몰리는 지역을 싫어해 여유롭고 한가하게 쉴 수 있는 곳, 유유자적 산책하며 휴일을 보내고 싶은 사람들에게 어울리는 곳이 있다. 바로 대청호 오백리길 4구간에 위치한 명상정원이다. 명상정원은 대청호 오백리길 4구간인 호반낭만길을 지나는 곳에 위치해 있다. 차량을 이용한다면 내비게이션에 명상정원 한터주차장을 검색하면 된다. 주차장에서는 나무데크를 따라 도보로 이동해야 한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명상정원’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명상정원’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화려한 개막…4일까지 계속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화려한 개막…4일까지 계속

  •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