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우리동네 플라스틱 자원순환단' 유관기관 업무협약

  • 전국
  • 부산/영남

부산시, '우리동네 플라스틱 자원순환단' 유관기관 업무협약

친환경 노인일자리 창출
폐플라스틱 자원순환 체계 구축 협력

  • 승인 2025-07-22 08:52
  • 김성욱 기자김성욱 기자
「우리동네 플라스틱 자원순환단」 유관기관 업무협약
'우리동네 플라스틱 자원순환단' 유관기관 업무협약식./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21일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유일산업㈜, 문화공감수정 협동조합과 함께 '우리동네 플라스틱 자원순환단'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친환경 노인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속 가능한 자원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각 기관은 긴밀한 협력을 약속했다.

어제 오후 시의회 중회의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부산시 사회복지국장, 김양진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부산울산지역본부장, 박승해 유일산업 대표이사, 김채령 문화공감수정 협동조합 대표이사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부산시는 사업 운영을 위한 행정 지원을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사업 기획 및 운영 총괄을 △유일산업는 폐플라스틱 최종 수거 및 보상(리워드) 제공을 △문화공감수정 협동조합은 중간 수거 전담기관 운영을 맡게 된다.



우리동네 플라스틱 자원순환단은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와 연계해 지속 가능한 탄소중립 일자리를 만들고 폐플라스틱 수거 기반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자원순환단은 6개 시니어클럽 공익활동형 노인일자리 참여자들로 구성된다.

참여자들이 도시철도 역사, 편의점 등에서 폐플라스틱을 수거하고 선별·세척 작업을 마치면, 수거 전담기관이 이를 운반·적재하고, 최종 수거 업체가 수거 및 노인일자리 참여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부산시는 지난해부터 우리동네 플라스틱 자원순환단을 운영하며 1803명의 노인일자리를 창출하고, 폐플라스틱 26톤을 수거했으며, 600만 원의 노인일자리 기금을 조성하는 등 구체적인 성과를 거뒀다. 특히, 조성된 기금은 자원순환단 참여자에게 보상(리워드)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정태기 시 사회복지국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하고, 부산의 자원순환 운영체계를 완성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부산이 지속 가능한 친환경 노인일자리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축소 해명 나서
  2. [대전 둔산지구의 새로운 미래를 그리다] 대전 둔산지구의 탄생과 번영…그리고 변화의 기로
  3. 새정부 유일 충청 출신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 ‘지명 철회’
  4. 폭우 구름띠 좁고 강해졌는데 기상관측망은 공백지대 '여전'
  5. "신입 노동자 퇴근 여부도 몰라"… 한솔제지 노동자 사망에 노동계 분노
  1. '의대생·전공의 복귀특혜 반대' 형평성 논란 확산… 국민청원 3만 6000명 동의
  2. '요일제 몰라 헛걸음에 신청접수처 오인까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첫 날 잇단 해프닝
  3. 폭우 지나고 폭염·열대야 온다…당분간 곳곳 소나기
  4. 송미령 장관, 민생회복 쿠폰 시행 대응...수해 피해 지원 지휘
  5. 농협, 폭염·수해 대응 '쿨링키트' 긴급 지원

헤드라인 뉴스


[대전 둔산지구의 새로운 미래를 그리다] 대전 둔산지구의 탄생과 번영…그리고 변화의 기로

[대전 둔산지구의 새로운 미래를 그리다] 대전 둔산지구의 탄생과 번영…그리고 변화의 기로

대전 둔산(屯山) 신도시가 30년을 넘기며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 최근 노후계획도시 정비 특별법이 마련되면서 둔산의 미래를 새롭게 그릴 기회가 열리면서다. 둔산은 과거 군부대가 다수 주둔하던 작은 군사도시에서 행정, 경제, 문화가 집약된 중심지로 성장했다. 이제는 대전의 '강남' 또는 '심장'이라 불릴 정도로, 지역의 상징적인 계획도시다. 하지만 둔산 신도시도 세월의 흐름에 따라 노후화된 인프라와 기존 도시 계획의 한계를 마주한 게 현실이다. 도시 미래를 새롭게 디자인할 기회가 어렵게 찾아온 만큼, 단순 주거 재건축을 넘어 미래세..

이진숙 후보 낙마 왜?”… 분열한 충남대·침묵한 대전 국회의원
이진숙 후보 낙마 왜?”… 분열한 충남대·침묵한 대전 국회의원

“사안으로 보면 강선우 후보가 더 문제 아니냐.”“지역대 총장 출신이라 희생양이 된 거다.”“대전 국회의원들은 엄호했어야 했다.”“충청 출신 장관이 1명은 있어야 하지 않나.”이재명 정부 초대 신임 내각 후보 중 유일하게 충청 출신이던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의 낙마를 놓고 여러 반응이 나오고 있다.집권당 내에서 별다른 조력자조차 없이 장관 후보까지 지명돼 기대감을 모았던 이 전 후보. 인사청문회에서도 여러 논란을 정면돌파하면서 비판 여론을 일부 잠재우기도 했지만, 끝내 대통령실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인사청문회 전부터 쏟아진 의혹..

`요일제 몰라 헛걸음에 신청접수처 오인까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첫 날 잇단 해프닝
'요일제 몰라 헛걸음에 신청접수처 오인까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첫 날 잇단 해프닝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된 21일 대전에서는 시민들의 관심이 폭발하면서 곳곳에서 혼선을 빚었다. 일부 시민들은 요일제 운영을 숙지하지 못해 헛걸음했고, 대부분 행정복지센터에서는 선불카드가 조기 마감됐다. 또한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는 신청 접수처로 오인한 접속자들이 몰리면서 서버가 폭주하는 해프닝도 벌어졌다. 이날 오전 9시 대전 서구의 한 행정복지센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접수가 시작되자 어르신들이 삼삼오오 센터로 몰렸다. 벽에 붙은 안내문을 확인하거나 직원에게 설명을 듣는 모습이 이어졌고, 대부분 신분증을 손에 쥐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 첫 날…북적이는 행정복지센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 첫 날…북적이는 행정복지센터

  • 쿨링포그로 식히는 더위 쿨링포그로 식히는 더위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