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환 시의원./부산시의회 제공 |
이 의원은 22일 제330회 임시회 시민건강국 하반기 업무보고에서 부산시의 치매안심센터 등록률이 전국 평균에 미달하고 예산마저 축소될 경우 사업 실효성이 저하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종환 의원은 부산시의 노인 인구 증가에 따라 최근 10년간 치매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치매관리 사업 예산이 전년 대비 증감 여부를 확인하며, 예산 축소 시 사업 실효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더불어, 부산시 치매안심센터의 등록률이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인력 충원 또한 기준 인력을 채우지 못하는 실태를 문제 삼았다. 이 의원은 인력 부족의 근본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요구했다.
이 의원은 부산시가 지역 특성과 여건을 반영한 '부산형 치매특화모델' 도입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그는 예방, 조기 진단, 돌봄까지 치매 전 주기에 대응하는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종환 의원은 "치매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가 함께 책임져야 할 공공과제"라고 역설하며, "부산시가 의지를 가지고 치매 관리 정책과 예산, 인력에 실질적 투자를 확대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또한, 시의회 차원에서도 치매 관리 강화를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과 예산 확보에 적극 앞장서고, 시민 건강권 보호와 노인 복지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정책 개선을 촉구해 나갈 것임을 밝혀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