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영미 시의원./부산시의회 제공 |
지난 24일 진행된 제330회 임시회 여성가족국 하반기 업무보고에서 문 의원은 부산 청소년센터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업무량을 소화하면서도 턱없이 부족한 예산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꼬집었다.
문영미 의원은 부산지역 청소년센터 종사자 1인당 서비스 지원 건수가 전국 1위인 반면, 센터당 평균 예산은 6대 광역시 중 최하위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녀는 "청소년센터를 찾는 위기 청소년 대상 상담 업무는 청소년에 국한되지 않고 가구의 문제로 확장되기 때문에 노동 강도가 매우 높다"며, 이로 인해 종사자들의 잦은 퇴사가 발생하고 있어 처우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문 의원은 청소년센터가 사회복지서비스 업무와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시설'로 분류되어 부산시 사회복지 종사자 처우개선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음을 문제 삼았다.
이로 인해 청소년센터 종사자들의 기본급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89% 수준에 불과하며, 심지어 동일 청소년시설인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종사자에게는 처우개선비가 지급되고 있어 형평성에도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문영미 의원은 "종사자 처우가 좋지 않으면 양질의 인력이 오지 않고, 이는 청소년 지원 서비스 질과 직결되는 문제"라고 역설하며, 부산시에 청소년센터 종사자 처우 개선 방안 마련과 처우개선비 지급을 위한 예산 확보를 강력히 촉구했다.
현재 부산지역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16개소가 운영 중이며, 이용자 수는 2023년 7185명에서 2024년 9514명으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중 약 75%가 위기 청소년으로, 늘어나는 수요에 발맞춰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종사자들의 안정적인 근무 환경과 합당한 처우가 절실한 상황이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