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전경./한수원 제공 |
이번 연구는 방사선을 암 치료가 아닌 퇴행성 질환에 적용한 세계 최초이자 알츠하이머 관련 세계 최대 규모의 임상 연구다.
한수원 방사선보건원은 2021년부터 강동경희대병원, 충북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저선량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고, 12개월 동안 인지기능 및 영상, 혈액검사 등을 추적 관찰했다.
기존 알츠하이머 치료 임상 연구는 대조군 없이 환자 5명가량을 대상으로 소규모로 진행됐던 것에 비해, 이번 연구는 그 규모와 체계성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임상 연구는 암 치료에 사용되는 선형가속기를 이용해 기존 암 치료 선량(2Gy)보다 훨씬 낮은 0.04 Gy 또는 0.5 Gy의 저선량 방사선을 1주일에 2번씩 3주간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또한, 기존 치매 약물을 복용하며 저선량 방사선 치료를 받지 않은 대조군과 저선량 방사선 치료군 간의 부작용 및 치료 효과를 비교 분석했다.
추적 관찰 결과, 대조군은 인지기능 저하가 계속 진행된 반면, 저선량 방사선 치료군에서는 12개월까지 부작용 없이 초기 알츠하이머병의 인지기능 저하가 완화되는 긍정적인 결과가 확인됐다.
해당 연구 결과는 향후 국제 학술지 발표 및 확증 임상 연구를 통해 장기간 부작용 유무와 치료 효과 등이 다각적으로 검증될 예정이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 종류 중 50~70%를 차지하며, 뇌에 아밀로이드 베타와 타우 단백질이 축적되어 인지기능 이상과 함께 일상 기능 상실을 동반하는 난치성 질환이다.
이봉수 한수원 방사선보건원장은 "이번 연구는 한수원이 단순히 에너지 기업에 머무르지 않고, 그동안 축적한 방사선 인체 영향 평가 기술과 기반 시설을 국민 복지 향상에 활용한 사례"라며, "저선량 방사선의 생물학적 효과를 의료 분야에 접목함으로써 국민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고, 앞으로도 과학 기반의 공익적인 연구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앞으로 알츠하이머병 외에도 다양한 난치성 질환에 대한 치료 가능성을 모색하며, 방사선 의학의 공공적 활용 가치를 넓혀갈 계획이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