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역에너지계획 비전 및 목표./부산시 제공 |
'모두가 참여하는 에너지 전환, 함께 누리는 녹색미래, 빅(BIG) 부산'을 비전으로 하는 이번 계획은 '에너지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되는 중기 법정계획으로, 국가 에너지기본계획 달성과 지역 경제 발전을 목표로 한다.
데이터센터 구축, 신도시 및 신규 산업단지 조성 등으로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절감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 방안이 핵심 내용으로 포함됐다.
이번 제7차 지역에너지계획은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전력자립률 13.5% 달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공급 부문 21개, 수요관리 부문 53개 등 총 74개 사업이 수립됐다.
에너지 공급 부문에서는 태양광, 해상풍력, 연료전지를 중심으로 2023년 대비 약 390% 확대된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추진할 계획이다.
에너지 수요관리 부문에서는 산업 및 건물 부문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설 개선 지원과 에너지 진단이 이뤄지며, 시민 대상 교육·홍보 및 시민 참여형 발전 사업을 통해 시민 주도의 에너지 전환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에너지 바우처 지원 등 취약계층을 위한 에너지 복지 사업도 함께 추진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계획에 따르면 분산형 전원은 신재생에너지에 연료전지 설비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2030년까지 2023년 대비 약 274% 확대된 보급률을 목표로 적극적인 보급을 추진한다.
에너지 수요는 2030년 부산지역 최종에너지 기준 수요(735만 TOE) 대비 15.3% 감축한 622만 TOE를 목표로 설정했으며, 에너지 절감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고려해 에너지-온실가스 연계 산정 방식을 적용했다. 또한,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온실가스는 2030년까지 2022년 대비 13.2% 감축한 2164만 톤 CO2eq를 목표로 설정했다.
부산시는 이번 계획 수립 과정에서 탄소중립, 기후변화, 에너지 관련 기존 계획들을 면밀히 재검토하고 관계 부서와의 타당성 검토를 거쳤다.
특히, 시민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시민 10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시민 공청회, 청년 세대와의 소통 프로그램(클린에너지 청년 서포터즈) 등을 실시해 시민 의견을 적극 수렴했다.
동시에 에너지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에너지 효율 실무단(워킹그룹), 수소 산업 육성 실무단(워킹그룹)을 운영해 전문성을 강화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올해 6월 25일 에너지 정책 위원회를 통해 최종 의견을 반영, 제7차 지역에너지계획을 확정했다.
박형준 시장은 "4차 첨단산업은 부산의 미래 성장 동력이지만, 이에 따른 전력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더욱 적극적인 신재생에너지 보급 노력이 필요하다"며, "계획된 사업들을 차질 없이 추진해 에너지 전환을 실현하는 녹색도시 부산을 만들고 동시에 관련 산업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