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원 대산구장 시미들 입장 위한 긴 대기행렬<제공=창원시의회> |
서 의원은 2024년 12월 대법원 판례로 통상임금 범위가 확대된 이후 버스업체들이 심각한 재정 압박에 놓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패소 후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간 업체까지 생겼다"며 위기의 현실을 강조했다.
서울과 부산이 법률 자문단과 대응팀을 꾸려 조기 합의와 분할 지급 방안을 마련한 사례를 언급하며 "창원시도 시민 교통권 보호를 위해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서 의원은 7월부터 유료화된 창원시 파크골프장의 운영 실태를 짚었다.
그는 "요금 부과보다 더 문제인 것은 시민 편의보다 행정 편의를 우선한 운영 방식"이라며 폭염 속 새벽부터 운동하는 어르신들이 일률적 운영시간에 묶여 있는 현실을 지적했다.
"홀 간 안전 펜스 없이 공이 날아드는 구조는 즉각 개선이 필요하다."
그는 기본적인 안전 확보와 무더위 대응 시설 부족 문제를 함께 지적했다.
서 의원은 김해시의 에어컨 설치 무더위 쉼터 운영 사례와 대구·부산의 무료 개방 사례를 언급하며 "요금을 부과하는 만큼 시민 체감 편익도 높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언은 교통권과 생활 편의라는 두 축을 통해 행정 본질을 묻는 질문이었다.
시민 곁에서 정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구조적 변화가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뒤따른다.
버스는 멈추지 않고 달려야 하고, 공은 안전한 길을 그려야 한다.
행정이 이 두 길을 잇는 다리가 될 때, 시민의 일상은 비로소 안정된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