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미YMCA전경.IT캡쳐 |
YMCA 관계자는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7일 낙동강 현장을 방문해 "보 철거와 개방을 핵심사업으로 삼아 江의 자연성을 회복하겠다는 정부 의지를 피력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재자연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한 김 장관의 당시 발언이 낙동강 재자연화를 기대하는 지역민에게 큰 기대감을 갖게 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대구취수원과 관련 에서 '해평 취수장 대신 구미보 상류로의 취수원 이전'이라는 구미시 측 제안에 부정적 인 입장을 내보이며 "비용적 측면에서 해평 취수장이 가장 효율적"이라며 "해평 취수장을 대구 취수원 다변화 장소로 추진 하겠다"라는 김 장관의 뜻에 반박의 목소리를 높였다.
YMCA 관계자는 "김 장관이 환경문제와 관련해 낙동강 재자연화를 이야기하면서 취수원을 지역 간 문제로 바라보는 잘못된 시각을 드러낸 것"이라며 "섣부른 장관의 발언이 지역 내 불만과 지역 간 분쟁을 촉발 시키고 있다"라며 혹평을 했다.
YMCA는 "우리는 다시 한번 분명히 밝힌다. 대구의 먹는 물 문제는 낙동강 재자연화와 수질 개선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낙동강 재자연화와 수질 개선을 위한 노력의 결과가 먹는 물 공급에 충분하지 못 할 경우 긴급대책으로 제안될 사안 중 하나가 취수원의 이전이다. 만일 수질 개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대구취수원 이전의 필요성은 없어진다"라고 밝혔다.
또 YMCA는 "그동안 몇 개의 정권을 거치며 낙동강 정책은 수질을 악화시키는 8개의 보가 유지되는 조건 하에 수립 돼 왔고 유해 화학물질차단이나 산업단지 오염개선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은 부재한 상태였다"라며 "대구 취수원 이전을 논하기 전에 환경공약 중 제1 공약으로 제시된 4대강 자연성 회복과 수질 개선 공약이행이 우선 돼야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구미 YMCA는 "낙동강과 취수원 문제는 지난 수십 년간 지역 정치권의 쟁점으로 이용되며 지역갈등과 불신만 심화시켰다. 우리는 그동안 일관되게 낙동강 재자연화를 통한 수질 개선이 먼저라는 원칙을 주장해왔다"라며 "새 정권 역시 이 원칙을 결코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주창했다.
구미=김시훈 기자 silim5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