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다문화] “중국의 하와이, 싼야(三亚)를 가다”

  • 다문화신문
  • 아산

[아산다문화] “중국의 하와이, 싼야(三亚)를 가다”

아름다운 해변과 휴양의 천국

  • 승인 2025-08-31 13:31
  • 수정 2025-08-31 13:32
  • 신문게재 2025-01-04 1면
  • 충남다문화뉴스 기자충남다문화뉴스 기자
중국 최남단 하이난섬에 위치한 도시 싼야(三亚)는 연중 따뜻한 기후와 아름다운 해변으로 '중국의 하와이'로 불리며, 세계 각국의 여행객들에게 인기 있는 휴양지로 자리 잡고 있다. 싼야는 열대 해양성 기후 덕분에 시원한 바닷바람을 즐길 수 있어 가족 단위 여행자, 신혼여행객, 은퇴 후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려는 이들에게 적합한 장소다.

  싼야의 대표 관광 명소로는 야룽완(亚龙湾), 천애해각(天涯海角), 녹회두(鹿回头) 공원이 있다. 야룽완은 하이난에서 가장 유명한 해변으로, 맑고 투명한 바닷물과 고운 모래사장이 펼쳐져 있으며, 수영과 스노클링 등 다양한 해양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하늘의 끝, 바다의 끝’이라는 뜻을 가진 천애해각은 '사랑과 영원의 상징'으로 유명하며, 커다란 바위들과 광활한 바다가 어우러진 절경이 사진 명소로 인기를 끌고 있다. 녹회두 공원에서는 싼야 시내와 바다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으며, 전설 속 사슴과 사랑의 이야기를 테마로 한 조형물이 인상적이다.

  싼야 국제면세점은 중국 최대 규모의 면세점 중 하나로, 명품 쇼핑을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장소다. 많은 관광객들이 휴양과 쇼핑을 함께 즐긴다. 또한, 싼야에서는 스노클링, 스쿠버다이빙, 요트 체험, 해양낚시 등 다양한 바다 활동을 경험할 수 있으며, 고급 리조트나 온천, 스파 시설도 잘 갖춰져 있어 '힐링 여행지'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에는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인 관광객도 점차 늘고 있는 추세다.

  자연과 문화가 어우러진 싼야는 열대우림 자연 생태공원과 불교 문화 유적지인 남산사도 함께 갖추고 있다. 특히 ‘남산 해상 관음상’은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해상 불상으로, 방문객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준다.

  싼야는 도시의 번잡함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여유로움을 만끽할 수 있는 여행지다. 바다, 문화, 쇼핑, 액티비티가 모두 조화를 이루는 이곳은 여름 휴가뿐 아니라 사계절 내내 사랑받는 중국 최고의 휴양지로 자리잡고 있다.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싼야의 푸른 바다와 하얀 모래사장에서 삶의 여유를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쉬춘메이 명예기자 (중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생의 수를 놓다’ 졸업식
  2. 세이브더칠드런 중부지역본부, 2025 차노을 전국투어 대전 수익금으로 지역아동센터 생활학습 환경 지원
  3. 이동진 건양사이버대 총장, 원대협 14대 회장 취임 “원대협법 국회통과 총력"
  4. 백석대 레슬링팀, 제49회 전국대학레슬링선수권대회 '메달 싹쓸이'
  5. 천안시청소년재단-이천시청소년재단 업무협약 체결
  1. 천안법원, 만취 상태서 충돌사고 내고 도주한 30대에 '징역 1년'
  2. 천안시립교향악단, 9월 3일 신진연주자 '협주곡의 밤' 개최
  3. 천안도시공사 북부스포츠센터, '시니어 트로트댄스' 조기 마감
  4. 천안동남경찰서, 동천안우체국 직원 대상 교통안전교육 실시
  5. 단편영화인과 대전시민들의 축제 개막…31일까지 엑스포시민광장서 상영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정기국회 돌입 충청 현안관철 골든타임

李정부 첫 정기국회 돌입 충청 현안관철 골든타임

1일부터 이재명 정부 첫 정기국회에 돌입하면서 충청 발전을 견인하기 위한 골든타임에 돌입했다는 지적이다. 행정수도특별법과 대전충남특별법 등 연내 통과는 물론 대정부질문을 통해 이재명 정부를 상대로 충청 현안 관철을 확답받을 수 있도록 지역 민·관·정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전 트램 등 현안 예산 증액도 이번 정기국회에서 발등의 불인데 한층 가팔라진 여야 대치로 충청 현안들이 뒷전으로 밀리는 것은 경계해야 할 지점이다. 국회는 1일 오후 2시 본회의장에서 정기국회 개회식을 열고 100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한다. 같은 달 9·1..

국회·대통령실 플러스 `디지털 미디어단지` 약속은 어디로?
국회·대통령실 플러스 '디지털 미디어단지' 약속은 어디로?

세종시 누리동(6-1생활권) 입지만 정한 '디지털 미디어단지(언론단지)'. 문재인·윤석열 전 정부로 이어지면 정책 공약으로 남겨져 있으나 빈 수레가 요란한 형국이다. 당초 계획상 토지 공급은 2025년 올해였다. 2021년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수도권 일간지 4개사와 방송 7개사, 통신 1개사부터 지방까지 모두 17개사가 너도나도 양해각서만 체결했을 뿐, 실체는 온데간데 없다. 당시만 해도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 완공이 2027년을 향하고 있었으나 이마저도 각각 2033년, 2029년으로 미뤄져 앞날은 더더욱 안개..

여야 대전시당, 내년 지방선거 앞 `잰걸음`
여야 대전시당, 내년 지방선거 앞 '잰걸음'

내년 제9회 지방선거를 앞둔 여야 대전시당이 조직 정비와 인재 양성 등 지선 체제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지방권력을 차지하려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뿐만 아니라 지역에 3당 구도 안착을 목표로 한 조국혁신당까지 공격적으로 나서면서 경쟁에 불이 붙는 모양새다. 먼저 조국혁신당 대전시당은 8월 31일 중구문화원 뿌리홀에서 대전·세종 제2기 정치아카데미를 개강했다. 2기 아카데미에는 내년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 등 80여 명의 수강생이 등록했다. 첫 강의는 최강욱 전 국회의원이 '이로운 보수, 의로운 진보'라는 주제로 수강생들과 만났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