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오공과대학교 RISE사업단 개소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
라이즈 사업은 RIS, LINC 3.0, LIFE, HIVE, 지방대 활성화 사업 등 5개 대학재정지원사업을 통합한 국가 핵심 정책이다.
교육부는 대학을 지역혁신 거점화로 육성해 '인재양성-취업-정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청년 유출과 지방소멸이라는 지역 문제에 대응하겠다는 취지이다.
특히 구미 금오공대, 구미대, 경운대는 이 사업에서 전체 17개 과제에 선정되는 성과를 올려 올해 예산 220억 원을 확보했고 향후 5년간 최대 국비 1100억 원을 받을 수 있다.
시는 시비 22억을 포함한 총 242억 원의 예산을 기반으로 라이즈 사업의 안정적 추진과 지역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한다.
![]() |
구미대학교 RISE 사업 발대식에서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각 대학별 선정 과제를 살펴보면, 금오공대는 반도체·방산 핵심기업 육성 및 AI·지능형 제조 분야의 역량 강화를 통해 구미산단의 경쟁력 회복과 기술 혁신을 견인할 계획이다.
경운대는 도심항공교통(UAM)·항공방산 등 차세대 항공산업 기반을 확충하고, 스마트물류 및 항공교통관제 분야 전문인력 육성에 역량을 집중한다.
구미대는 현장 실무형 고급인재 양성을 중심으로, 특히 푸드테크 특화과정을 운영해 관련 산업 현장 수요에 부응하는 실무 역량 강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아울러 금오공대·경운대·구미대는 3개 대학 연합 모델의 일환인 'MEGAversity'를 기반으로, 해외 우수 인재 유치를 위한 글로벌 캠퍼스를 통합·운영한다.
이는 단순 유학생 유치에 그치지 않고, 유학 초기부터 졸업 후 정착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며, 특히 현장순환 학기제를 운영해 유학생이 산업 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라이즈 사업은 대학에서 성장한 인재가 지역에 머물며 일자리를 갖고,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사업"이라며 "시는 지역과 대학이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구미=김시훈 기자 silim5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