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간 면허받은 마을어장에서 전복, 해삼, 키조개 채취를 위해서는 고가의 잠수기(일명 머구리) 허가어선을 어장관리선으로 임차하거나, 별도의 산소 공급 없이 바닷속에 들어가 어획물을 채취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옹진군에서는 현지실정에 맞는 마을어장 내 포획·채취방법을 마련하고자 지난해 1월부터 인천시 및 해양수산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방문하는 등 여러 차례 협의와 보완을 거쳐 덕적·자월권역의 시험어업 승인을 얻어냈다.
'덕적·자월 권역 어업잠수사 시험어업'으로 명명된 이번 사업은 2026년 12월까지 진행될 예정으로, 덕적, 문갑, 백아, 울도, 자월, 이작, 소이작, 승봉 등 총 8개 어촌계가 참여하며, 덕적면 마을어장 25개소(228.5ha)와 자월면 마을어장 16개소(261ha)를 포함한 총 41개소(489.5ha)의 마을어장이 대상이다.
참여 규모는 덕적면에서 어업잠수사 8명과 어장관리선 4척, 자월면에서 어업잠수사 12명과 어장관리선 5척으로, 총 20명의 잠수사가 활동하며, 이들은 공기통, 호흡기, 마스크 등 잠수 장비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해삼, 전복 등 정착성 수산동물을 포획·채취할 예정이다.
옹진군에서는 이번 시험어업에 앞서 유관기관 및 해당 어촌계장, 면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9월 중 시험어업 준수사항, 어획일지 작성방법, 안전관리 방안 등 사전교육을 시행하고 모든 제반사항이 완료된 어촌계부터 순차적으로 어업을 착수토록하여 이번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옹진군 관계자는 "이번 시험어업을 통해 옹진군 덕적·자월면의 어업 환경이 한층 개선되어 관내 수산자원을 효율적으로 생산·관리하는 등 관내 어업인들에게는 실질적으로 어가 소득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옹진군은 2024년 4월엔 해양수산부로부터 서해 5도 권역(연평, 백령, 대청) 마을어업 자원관리채취선 시험어업 승인을 얻었다. 인천=주관철 기자 orca2424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