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에 따르면 국가산업단지는 축산자원개발부 일명 종축장 이전부지 417만㎡를 활용해 2023~2028년까지 1조6000억원을 투입, 모빌리티와 반도체, 디스플레이를 주업종으로 하는 미래 첨단산업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토지이용계획 상 산업시설 293만4000㎡(70.4%), 지원시설 6㎡만(1.4%), 공공시설 117만 5000㎡(28.2%)로 구성됐으며 특히 폐기물처리및 재활용시설(이하 폐기물 매립장)이 5만8416㎡로 전체 부지의 1.4%나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폐기물매립장 위치가 34번 국도와 밀접하다 보니 향후 들어설 '뉴타운 클러스터' 165만㎡와 인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어서 설치반대 여론이 커질 수밖에 없다.
뉴타운 클러스터의 경우 1만400세대 2만500여명이 거주할 것으로 예상돼 폐기물 매립장으로 인한 민원이 끊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천안 미래모빌리티 국가산단과 뉴타운 클러스터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 삼성전자가 위치한 '평택 고덕 국제화 계획지구 일반산업단지'와 같이 폐기물매립장에 대한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일반적으로 산업단지 내에는 폐기물 매립장이 의무적으로 조성해야 하지만, 평택 고덕사업지구는 계획변경을 통해 연계 처리한 사례로 부각되고 있다.
당시 경기도는 평택 고덕 사업지구 내 발생하는 배출시설계 소각대상폐기물 및 매립대상폐기물은 어연·한산지방산업단지 내 폐기물처리시설에서 처리토록 계획하고 조성 전까지 전문처리업체에 위탁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관련법을 준수하면서 폐기물매립장과 연계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해 평택 고덕 주변의 아파트단지와 상가, 주택 등의 피해를 최소화한 결과를 낳았다.
하지만 천안시는 마땅한 대책이 없는 상태다.
제5산단의 경우 매립장 부지가 3만4000㎡로, 설치 당시인 2008년부터 2026년까지 무려 18년 동안 각종 민원과 반대로 어려움을 겪어왔으며 불과 몇 년 뒤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 제6산단도 4만㎡의 매립장을 조성할 계획이지만 보성지구를 포함해 무려 1만9000세대의 아파트 단지와 단독 주택 등이 들어설 예정이어서 설치가 순탄할지 불투명하다.
이에 시가 적극 나서 천안미래모빌리티국가산업단지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 연계 처리 등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 관계자는 “산단 폐기물처리장이 전국적으로 부족한 건 사실”이라며 “하지만 지자체가 연계할 수 있는 폐기물처리장을 설치하는 것은 막대한 자본이 투입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다”고 했다.
이어 “민간이 폐기물 처리장을 설치한다면 연계할 수 있지만, 여러 가지 관련법이나 주민들의 동의나 지원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이라며 “금강유역환경청 승인하에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고 법적 요건을 갖춘 매립장이 들어선다면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천안=정철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