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해군청 전경<제공=남해군> |
사기범은 '가족여행 지원사업'을 빙자해 군수 직인이 찍힌 허위 문서를 발송했다.
구매 품목과 계약 금액을 적시하고 직접 방문까지 언급해 피해 우려가 컸다.
같은 날 서울과 남해의 업체에도 비슷한 공문이 전달됐다.
꽃 납품을 명목으로 계약을 요구했고, 납품기한까지 대금이 지급되지 않으면서 사기 정황이 드러났다.
군은 즉시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펜션업체와 소상공인에게 긴급 문자를 발송했고, 읍면 행정복지센터와 홈페이지에 예방 홍보를 올렸다.
군은 어떠한 경우에도 금품 송금이나 외상거래를 요구하지 않는다.
공문이나 명함만으로 계약을 진행하지 말고 군청 대표전화나 해당 부서에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의심되는 연락을 받으면 경찰과 군청에 즉시 신고해야 한다.
다만 위조 문서가 실제 직인과 형식을 모방했다는 점에서 구조적 보완이 필요하다.
디지털 인증 체계와 문서 진위 확인 절차가 마련돼야 유사 범죄를 막을 수 있다.
남해군 관계자는 "공공기관 명의 사칭은 군민 신뢰를 해치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철저한 확인과 즉시 신고를 당부했다.
사람의 눈을 속인 문서가 번번이 등장한다면, 신뢰의 문은 닫히고 두려움의 벽만 높아진다.
남해=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