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은 지난해 우즈베키스탄 나망간주에 벼 기계 이앙 시범단지와 무균 씨감자 특화단지를 성공적으로 조성해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단순한 농업기술 수출을 넘어 양국의 상호 발전과 식량 주권 강화를 위한 협력 모델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군은 굿뜨래 공동브랜드와 스마트팜 단지 등 전국 최상위권의 농업 기반을 갖추고 있다. 부여군농업기술센터는 농촌진흥청의 농업과학기술정보서비스(ASTIS) 전국 5대 거점에 선정됐다.
스마트팜 등 첨단 농업 인프라에 디지털 농업 허브로서의 위상을 갖추게 된 것이다. 농업 현장의 문제를 데이터 기반으로 진단하고, 맞춤형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기술 보급 체계를 구축했다는 의미가 있다. 여기에 농생명 연구와 국제 학술 네트워크에 강점이 있는 충남대가 교육 과정 개발과 국제 협력 프로그램 운영을 주도하게 된다. 국제농업기술교육원을 교육과 연수의 선도 모델로 성장시키겠다는 복안이다.
양 기관은 국제농업기술교육원이 설립되면 외국인에 대한 농업기술 전수를 통한 K-농업의 세계화뿐만 아니라 청년층 유입을 통해 지역소멸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건은 설립을 위한 재원 마련이다. 양 기관은 정부의 ODA(공적개발원조) 예산을 통해 재원을 조달한다는 계획으로, 지역 정치권의 관심과 지원이 꼭 필요하다. 국내 첫 국제농업교육 및 해외 농업진출 플랫폼이 될 국제농업기술교육원 설립 프로젝트가 면밀한 실행 계획을 통해 차질 없이 추진되길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