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일 대한민국 청주 엔포드호텔에서 IWPG 주최로 열린 '2025 세계여성평화 콘퍼런스' 2부 '여성평화교육 세션'이 진행되고 있다./IWPG 제공 |
이번 콘퍼런스는 '갈등을 넘어: 희망과 회복을 향한 여성의 평화 리더십'을 부제로 국내외 여성 리더 800명이 참석해 지속가능한 평화 실현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말리, 예멘, 리비아 등 현재 분쟁 중이거나 분쟁을 겪은 지역의 핵심 여성 정치인들이 대거 참석해 주목을 끌었다.
콘퍼런스 1부에서는 분쟁과 위기 상황에서 여성 리더십이 평화 구축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 조명했다.
아이샤 알 마흐디 샬라비 리비아 국회의원, 빈투 푸네 바우아헤 사마케 말리 전 장관, 킴 심플리스 벨리즈 전 영부인 등이 기조연설과 주제 발표를 통해 여성의 역할을 제시했다.
이들은 여성이 단순한 피해자나 조력자가 아닌 공동체와 국가의 회복을 이끄는 핵심 리더임을 강조했다.
![]() |
전나영 ㈔세계여성평화그룹(IWPG) 대표가 19일 대한민국 청주 엔포드호텔에서 열린 '2025 세계여성평화 콘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IWPG 제공 |
마리아 테레사 로요 팀볼 필리핀 부시장과 부조 락슈미 몽골 환경기후변화부 성평등 자문관이 각각 필리핀 민다나오 지역의 평화 전환과 몽골의 페미니스트 외교정책 사례를 발표했다.
콘퍼런스 후반부에서는 평화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제도화와 교육에 초점을 맞췄다.
맘푸라네 캐론 크고모 남아프리카공화국 외교부 국장은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 선언문(DPCW)'을 중심으로 여성의 참여가 평화 법제화 과정의 핵심 주체임을 조명했다. 이해령 IWPG 평화위원장은 한반도 평화 구축에서 여성의 역할을 제시했다.
오후에 열린 '여성평화교육 세션'에서는 코트디부아르, 예멘, 몽골의 사례를 통해 평화교육의 실제 효과와 확산 방안을 다뤘다. 이와 함께 워크숍을 통해 각국의 평화 실천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전나영 IWPG 대표는 "전 세계 여성이 한자리에 모여 지속가능한 평화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