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밀양시청 전경<제공=밀양시> |
정무권 의원은 행사 예산이 지난해보다 800만 원 늘었음에도, 거리 퍼레이드 항목이 중복 반영됐다고 지적했다.
행정지원과는 올해 30주년을 맞아 행사를 특화한다며 예산 증액 사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지난해에도 동일한 퍼레이드가 운영비에 포함돼 있었던 사실이 드러나자, 정확한 파악 없이 답변을 한 점이 문제가 됐다.
또한 보조금 및 위탁금 집행 현황에서는 일부 단체 집행 잔액이 1000원 수준에 불과해 형식적인 정산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새마을회가 추진한 국기 게양 운동은 실효성이 낮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아파트 단지에서 국기 게양률이 저조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단순 보급 위주의 지원이 반복됐다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보조금 관리 방식이다.
새마을회, 바르게살기운동협의회, 자유총연맹 등 주요 단체의 이자 반납액이 0원으로 나타나자, 과장이 "무이자 통장으로 전환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는 사무국까지 운영하는 단체가 기본적인 재정 관리조차 소홀히 했음을 보여준다.
예산 투입 대비 성과가 불분명한 행사 운영과 허술한 보조금 관리 구조는 개선이 시급하다.
행사 기념성에만 치중하지 않고, 집행 근거와 성과를 명확히 공개해야 한다.
또한 보조금은 단체 편의가 아닌 시민 참여와 실질적 효과를 기준으로 배분돼야 한다.
세금으로 운영되는 행사라면 축제의 화려함보다 투명한 집행이 우선이다.
시민의 눈앞에 보이는 성과가 없다면, 퍼레이드 행렬은 예산 낭비라는 비판 속에 사라질 수밖에 없다.
밀양=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