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대 송치홍 교수 연구 이미지./부산대 제공 |
이번 성과는 부산대학교 국제 공동연구팀이 첨단 전자현미경 기법을 동원해 이뤄냈다. 감귤류 피해 방제뿐만 아니라 생물 진화 연구에도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융합의과학과 송치홍 교수 연구팀은 일본 연구팀과의 공동연구 끝에 귤나무이 속 세균의 미세구조를 입체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귤나무이는 감귤 재배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이 곤충 몸속에는 '프로프텔라'라는 세균이 공생하며 독성 화합물을 합성해 천적을 막는다. 연구팀은 이 프로프텔라 세포 내부에서 관형 구조를 발견했다.
첨단 3차원 전자현미경을 활용한 정밀 분석 결과, 프로프텔라 세포에는 길이가 수십 마이크로미터에 달하는 긴 관형 구조가 여러 개 존재했다.
일반적으로 세균은 복잡한 세포소기관을 갖고 있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구조는 리보솜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단백질 합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연구팀은 이 구조가 세균에서 발견된 극히 드문 사례라고 강조했다. 이는 세균이 단순한 생명체라는 기존의 인식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발견이다. 해충 방제 전략의 새로운 표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어 농업 해충 관리에 큰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송치홍 부산대 교수는 "이번 발견은 세계 최초로 세균 내에서 보고된 독특한 구조라는 점에서 학문적으로 의미가 크다"며 농업 실무에도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