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스타트업의 미래를 열다'...부산대, PNU Tech Biz Week 성료

  • 전국
  • 부산/영남

'초기 스타트업의 미래를 열다'...부산대, PNU Tech Biz Week 성료

스타트업 성장 지원 및 투자유치 기회 제공
IR 데모데이, 세미나, IP 골든벨 등 운영
지역 대학과 협력 강화하며 창업 문화 선도

  • 승인 2025-09-26 10:26
  • 김성욱 기자김성욱 기자
250926-303-(첨부) 부산대 2025 비즈위크 사진2
부산대 2025 비즈위크 행사 모습./부산대 제공
부산대학교 기술창업주간 'PNU Tech Biz Week 2025' 행사가 지난 24일과 25일 이틀간 부산대 액셀러레이팅 창업문화 공간인 PNU AVEC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부산대학교기술지주는 대학발 초기 스타트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창업기업 교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매년 이 행사를 연다고 26일 밝혔다.

올해 5회째를 맞은 이 행사는 'Break Through Together(함께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장하자)'라는 슬로건 아래, 예비 창업자와 초기 창업기업이 고민을 공유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화합의 장으로 마련됐다.

특히 초기 기업들의 안정적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IR(Invest Relations) 데모데이를 집중 운영해 참여 기업들의 투자유치 기회를 제공했다.



이번 행사는 부산대 학생 창업기업과 초기 스타트업이 참여하는 'Super Rookie Day'와 부산대기술지주 자회사 및 피투자기업, 투자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Next Unicorn Day'로 운영됐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영업비밀 보호제도와 스타트업 최신 이슈, 선배 창업가의 창업스토리, 실천형 셀프리더십 등을 다룬 '스타트업 세미나'가 진행됐다.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지식재산권의 중요성과 창업 활용 인식을 높이기 위한 '도전! IP 골든벨'과 투자유치 및 기업 홍보가 이뤄진 'IR 데모데이'도 함께 진행됐다.

또한, 매월 개최되는 'PIUM 기술사업화 센터 정기 교류회'가 함께 열려 동남권 협력대학들과 대학발 기술창업에 관한 의견을 나눴다. 이 외에도 창업기업 성과 홍보관 운영, 포토박스, 경품 추첨 등 다양한 부대행사로 행사의 풍성함을 더했다.

강정은 부산대기술지주 대표이사(산학협력단장·도시공학과 교수)는 "창업 비중과 관심도가 커지는 가운데, 부산대를 중심으로 대학창업 문화를 조성하고 선도하는 행사를 지속해서 개최하게 돼 책임감이 크다"고 말했다. 아울러 "어려운 시기에 함께 잘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앞으로도 대학의 인프라를 바탕으로 창업기업들의 성장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글로컬대학 30 본지정 발표 임박…충청권 대학 운명은?
  2. 대전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증차에도 시민불편 여전
  3. 신임 대전경찰청장에 최주원, 충남 임정주, 충북 이종원 임명
  4. 영유아 육아 돕는 친족에 월 30만원… 충남도, 내달부터 가족돌봄 지원사업 시행
  5.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1. '교육자료'된 AI디지털교과서, 앞으로 갈 길은? 대전미래교육연구회 토론회
  2. 대전교육청 "제동장치 없는 픽시 자전거 타지 마세요"… 경찰 단속도
  3. 세종시, 우수 기업 '코아비스' 방문...맞춤 지원책 모색
  4. 닥치는 대로 '무전취식' 50대 법원서 징역형 선고
  5. 30년 만에 폐지 수순 밟는 PBS… 정책변화 방향은?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 탈출한 대전시… 전국서 찾는 ‘잼잼도시’로

노잼도시 탈출한 대전시… 전국서 찾는 ‘잼잼도시’로

대전은 과거 '노잼도시'이미지를 탈출하고 '잼잼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단순히 과학도시, 교통의 중심지, 그리고 정부 청사가 있는 행정도시로만 인식되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 대전은 필수 방문지로 탈바꿈했다. 노잼'은 부정어 'No'와 '재미'의 합성어다. '노잼도시'는 말 그대로 재미없는 도시를 말한다. 민선 8기 대전시는 0시 축제를 비롯해 성심당의 인기로 인한 빵의 도시 이미지, 대전 엑스포 마스코트였던 꿈돌이를 재해석한 꿈씨패밀리 브랜드화 등의 정책을 폈다. 효과는 고무적이었다. 대전은 '성심당'이라는 강력한 킬러콘텐츠를 갖고..

대전 석면 제거완료 학교 비율 전국 하위권… 세종은 100%
대전 석면 제거완료 학교 비율 전국 하위권… 세종은 100%

전국적으로 학교 석면 제거 공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대전의 제거 완료 학교 비율이 전국 하위권으로 나타났다. 세종은 전국 유일하게 100% 제거 완료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문정복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702개 학교 건물 내 석면이 철거되지 않았다. 충청권은 대전 71·충남 170·충북 102개 학교가 앞으로 석면 제거가 필요하다. 석면 제거 완료 전국 평균은 87.2%로, 대전은 78%에 그친다. 대상 학교가 가장 많은 경기도는 현재까지 1274개 학교 석면 제거를 완료했지만 여전히 451곳..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파업과 치료 중단 사태를 빚은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를 위해 국가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과 대전시의 적극적인 해결 의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와 공공재활 의료 개선과제 국회토론회’에서다.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대전 국회의원 7명과 충남의 이재관 의원(천안시을), 국힘 김예지 의원(비례),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비례),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비례)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토론회에서는 연간 92억원을 투자하고도 68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점을 강조하며 국가가 운영비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 파란 가을 하늘 아래 산책 파란 가을 하늘 아래 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