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1회 백제문화제, 95만 관람객의 열기 속에 성황리 폐막… ‘아름다운 백제, 빛나는 사비’의 감동 남겨

  • 충청
  • 부여군

제71회 백제문화제, 95만 관람객의 열기 속에 성황리 폐막… ‘아름다운 백제, 빛나는 사비’의 감동 남겨

부여 전역에서 10일간 펼쳐진 역사문화 향연, 드론쇼·미디어아트·성왕연회 등 고품격 야간 콘텐츠 호평

  • 승인 2025-10-13 11:24
  • 김기태 기자김기태 기자
1.제71회 백제문화제(백제역사문화행렬)
백제문화제 역사문화행렬 장면(사진 부여군제공)
'아름다운 백제, 빛나는 사비'를 주제로 열린 제71회 백제문화제가 지난 10월 3일 개막을 시작으로 12일까지 황금연휴를 포함한 열흘간의 대장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올해 백제문화제는 부여군 전역에서 다양하게 전개되며, 총 누적 관람객 95만여 명이 다녀가 대한민국 대표 역사문화축제의 위상을 다시금 증명했다. 특히 주 행사장인 백제문화단지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첨단 콘텐츠가 어우러진 프로그램들이 관람객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가장 큰 화제를 모은 것은 야간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이었다. 1100여 대 드론이 밤하늘을 수놓은 '드론아트쇼'는 관람객의 탄성을 자아냈고, 사비궁을 배경으로 펼쳐진 미디어아트 '빛으로 빚은 백제야(夜)'는 고대와 현대 예술의 감성을 절묘하게 융합해 관람객을 압도했다.

또한, '성왕연회'는 고풍스러운 사비궁 야경을 배경으로 캔들라이트 조명 아래 탱고·클래식 공연과 함께 굿뜨래 농산물로 구성된 저녁식사를 제공하며, 사전 신청자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했다. 이는 백제문화제가 지향하는 '고품격 축제'의 정체성을 한층 강화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황금연휴를 맞은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체험 프로그램도 인기를 끌었다. 'YES 키즈존'에서는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놀이 및 체험 공간이 마련되어 연일 북적였으며, '생활문화마을'에서는 금귀걸이 키링 만들기, 목간 체험, 염색 체험 등 전통문화 프로그램이 관람객의 만족도를 높였다.

1.제71회 백제문화제(백제 연희단)
백제 연희단 공연 장면
공연 프로그램 또한 세대를 아우르며 축제의 열기를 더했다. 프로미스나인, 폴킴, 조성모, 머쉬베놈, 김연자, 이은미 등 정상급 아티스트들이 무대를 빛냈으며, 일본의 '야마토 대북공연단' 선보인 전통 공연은 해외 교류의 의미를 더했다.

특히 8년 만에 부활한 '백제역사문화행렬'은 이번 축제의 하이라이트로 꼽힌다. 부여 군민과 학생 600여 명이 참여해 왕실 행차, 고취대, 대형 백제기 등의 장엄한 퍼레이드를 선보이며 도심 속에서 백제의 찬란한 역사를 재현했다.

또한, 구드래와 신리를 잇는 '백제 옛다리' 부교와 백마강 위 LED 돛단배, 수변 경관조명은 가을밤의 부여를 환상적인 빛으로 수놓으며 낭만적인 분위기를 자아냈다.

박정현 부여군수는 "백제문화제는 천오백여 년 전 백제가 꿈꾸었던 이상을 오늘의 부여에서 되살려내는 거대한 문화장터"라며, "백제의 개방성과 포용성, 진취적인 정신을 담아 남들이 보지 못한 백제의 세계를 보여드리고자 했다"고 밝혔다.

이어 "백제문화제는 과거형이 아닌 살아 숨 쉬는 현재형 축제이며, 백제문화의 세계화는 미래가 아닌 지금, 이 순간 우리 곁에서 실현되고 있다"며 "군민과 자원봉사자, 그리고 축제를 찾아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부여=김기태 기자 kkt05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국마사회, 미리보는 챔피언 결정 ‘대통령배·그랑프리’ 빅매치
  2. 고양시 일산서구, 2025년 교통유발부담금 40억 원 부과
  3. 자전거로 '세종 국회·대통령실' 부지 찍고 경품 타자
  4. 걷거나 달리거나 '국회·대통령실' 한바퀴...상품은 덤
  5. 항우연 노조, 이상철 원장 사퇴 촉구 "무능과 불성실"… 항우연 입장은?
  1. 경부고속도 '상서 하이패스IC' 10월 내 개통된다
  2. 18일 나성동 차 없는 거리 '환경교육한마당' GO...경품도 풍성
  3. 아산시 곡교천, 백일홍·코스모스 등 가을꽃 만개
  4.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스무 살에 금융기관 취업한 비결은?
  5. 5개월 앞둔 통합돌봄, 새틀짜기 논의 활발 "기관 협의체 만들고 직역 협력모델을"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13일 막이 오르는 가운데 산적한 충청 현안 관철을 위한 골든 타임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전 충남 행정통합 및 공공기관 2차 이전 등 560만 충청인 염원이 본궤도에 오르도록 동력을 공급해야 하는 것이다. 국감 증인대에 서는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태흠 충남지사 뿐만 아니라 충청 여야 28명 의원의 초당적인 협력과 이슈파이팅이 시급해 보인다.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국감은 내년 6월 지방선거 앞 더불어민주당의 윤석열 정부 내란청산, 국민의힘의 이재명 정..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 준비에 속도를 내면서 지역 정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선에 나설 후보 자격 심사 규정 준비부터 컷오프(공천 배제)와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 적용 여부 등 공천룰이 어떻게 구체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일찍이 지방선거기획단을 꾸린 뒤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후보 자격 심사 규정을 정비 중인데, 인위적인 컷오프는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청래 대표는 8·2 전당대회 과정에서 억울한 공천 배제를 막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때문에 애초 범죄 경력자 등 부..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대전 제과점이 지속적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전 대표 제과점인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주목받으면서 빵의 도시로 급부상한 데 따른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국세통계포털 사업자현황에 따르면 8월 기준 대전의 제과점 수는 663곳으로, 1년 전(632곳)보다 31곳 늘어났다. 대전 제과점 수는 최근 5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8월 538곳에서 2021년 8월 594곳, 2022년 8월 637곳, 2023년 8월 642곳, 2024년 8월 632곳으로 매년 단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늘고 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