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식음료제공시설 조리장 점검 현장./부산시 제공 |
부산시는 지난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와 '2025 에이펙(APEC) 정상회의' 등 대규모 행사를 성공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식품·숙박 위생안전 전방위 관리를 추진했다. 전 과정에서 위해사고 0건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해 국제행사 경험을 바탕으로 사전점검·현장대응·사후관리로 이어지는 입체적인 위생 안전관리 체계를 운영했다.
시는 지난달 17일부터 11월 5일까지 열린 전국체전 기간, 총 82개 경기장과 인근 숙박 2062곳, 음식점 1950곳을 대상으로 사전점검과 현장 위생관리를 병행했다. 선수단·관람객 등의 식중독·숙박민원 신고는 없었다.
대회 기간 시 보건위생과를 중심으로 위생분야 종합상황실을 운영하며 민원신고 즉시 대응체계를 가동했다.
특히,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부산식약청)과 합동 현장조사체계를 구축하고, 식중독 잠복기를 고려해 지난 9일까지 위생상황실을 연장 운영한 결과, 식중독 발생 신고 건수는 0건으로 확인했다.
또한, 지난달 26일부터 11월 1일까지의 APEC 정상회의 기간, 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요청에 따라 부산식약청, 부산진구청과 합동으로 정상 숙소(부산 소재 호텔)와 식품공급시설을 중심으로 식음료 안전관리 업무를 지원했다.
행사 전 관리시설을 대상으로 합동 위생점검을 실시하고, 종사자 390여 명에 대한 노로바이러스 검사, 조리용수의 식중독균 사전검사를 통해 위해요인을 미리 차단했다.
각국 정상들이 부산 숙소에 머무는 3일간은 24시간 현장대응체계를 유지하며 조리부터 제공까지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점검·지원했다.
조규율 시민건강국장은 "한 끼의 식사와 하루의 숙박까지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이 우리시가 세계 속에서 신뢰받는 도시로 나아가는 첫걸음"이라며 "앞으로도 시민의 건강과 국제행사의 품격을 지키는 '안심부산' 위생관리 체계를 더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