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영미 작가(넉점반 그림책방 대표)가 그림책을 들어보이고 있다. 김 작가가 쓴 그림책으로는 '그림책이면 충분하다'가 있다. |
책이 늦게 나와 되돌아 나올 때 책방 아저씨는 비슷한 출판사의 비슷한 소설을 권했다. 그 때부터 난 이청준, 서정인. 박완서 우리 소설가를 사랑하게 되었고 책방 아저씨가 책을 건네며 '뚝' 던지는 한마디가 그렇게 좋았다. 그 말에 점점 더 귀를 기울이게 되었고 책방도 자주 가게 되었음은 물론이다.
마치 작년에 본 빔 벤더스의 영화 <퍼펙트 데이즈> 속 한 장면처럼 말이다. 주인공 히라야마는 도쿄의 화장실 청소부이고 일을 마치고 돌아오면 다다미방에 누워 책을 읽는다. 그리고 일주일에 한 번 쯤은 헌책방에 간다. 이 장면이 참 좋았다. 그가 책을 계산 할 때면 책방의 여자 사장님은 거만하게 뒤로 눕듯 앉아 거스름돈을 주며 그가 산 책에 꼭 한마디 한다.
"고다 아야, 너무 저 평가됐죠? 같은 단어도 이분이 쓰면 완전 느낌이 다르다니까" 혹은
"퍼트리샤 하이스미스는 불안한 감정을 참 잘 묘사해요."등등이다. 주인공 히라야마는 책방 주인의 말을 무심히 듣지만 영화를 보는 난 무심해지지 않는다. 내가 꿈꾸던 책방주인의 모습이기에...
보문산 아래 문화동 골목길 모퉁이에서 그림책방을 합니다. 벌써 5년이 되어 갑니다. 동네 아이들이 들락거리는 동네 책방이고 싶었는데 골목길에는 아이들이 없습니다. 그림책을 좋아하는 사람들 한명 두명 찾아와 그림책을 보고 그림책을 이야기하는 곳이 되길 바랬는데 그것도 참 어려운 일입니다. 다만 한 해 한 해 더해지면서 어린이집과 유치원 초등학교에서 견학을 옵니다. 아주 가끔이지만 그림책방과 어울릴 것 같지 않은 고등학교에서도 옵니다.
지난 달에는 D여고에서 지난 주에는 대전 J 고등학생들이 왔습니다. 두 학교 모두 작년에 이어 두 번 째이고 J 고등학생들은 독서 동아리입니다. 그래도 소설 좀 읽는 문학소년(?)들 말입니다. 그런데 이 문학 소년들이 책방에 오면 책방이 빛이 납니다.
작년에 처음 왔을 때 일입니다. 그림책을 둘러보던 한 학생이 조심이 다가와 제 귀에 대고
![]() |
| 김영미 작가(넉점반 그림책방 대표)가 그림책을 들어보이고 있다. 김 작가가 쓴 그림책으로는 '그림책이면 충분하다'가 있다. |
이번에 온 후배들도 그림책을 샅샅이 찾아 읽더니 작년과 마찬가지로 약속이나 한듯 그림책 한권 앞에 모여듭니다. 서로 아는 척을 하면서 같이 읽더니 얼굴이 환해집니다. 저도 알 것 같습니다. 그럴 수 밖에 없는 책입니다. 그림책 <까까 똥꼬>는 계룡문고에 가면 사장님이 견학온 아이들에게 늘 읽어주던 책입니다. 다들 계룡문고를 기억해냅니다. 내가 그 옛날 지은서점 아저씨를 기억해 내듯이 말입니다.
그림책방 5년을 하면서 알게 된 것이 있습니다. 대전의 고등학생들은 그림책에 대한 같은 기억이 있습니다. 계룡문고에서 늘 읽어주던 몇 권에 책 특히 <까까똥꼬><왜요?>등 그림책에 대한 기억입니다. 그때를 생각하면 지금도 좋은지 얼굴이 환해집니다. 책 한권이 준 기쁨을 기억해 냅니다. 아마 그때나 지금이나 마음이 다 풀렸을 것입니다.
아이들이 우리 책방에 견학을 오면 집에 있는 책, 어린이집에서 본 책을 찾아내고 환호합니다. 그리고 나 이 책 알고 있다고 아는 척을 합니다. 독서의 가장 큰 기쁨입니다. 이런 기쁨이 책읽기를 이어가고 생애의 독자로 만들어 줍니다. 아이들에겐 아는 척이 필요합니다. 책방 문을 열고 들어서면서 소리를 지르고 아는 책 앞에서 환호하며 그 앞을 떠나지 않는 일이 필요합니다.
넉점반 그림책방 대표 김영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황미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