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게티이미지뱅크. |
10일 부동산 실거래가 분석사이트 아실에 따르면, 대전과 충남, 충북은 수도권의 각종 규제에도 거래량이 꾸준히 감소했다. 먼저 대전의 경우 9월 1312건, 10월 1153건에 그치며 한 달 새 159건 줄었다. 충남은 10월 1653건으로 전월(2122건)보다 469건 줄어들었다. 충북은 9월 1636건, 10월 1421건으로 한 달 새 215건 줄었다.
반면, 세종은 거래량이 증가했다. 세종은 규제 외 지역 중 유일하게 거래량이 늘었다. 세종의 경우 9월 346건에서 10월 388건으로 42건 늘었다.
세종의 경우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수도권 규제와 맞물려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 등이 영향을 받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즉, 실수요자들이 눈을 돌릴 수 있는 곳 중 한 곳이라는 평가다. 세종의 한 공인중개사는 "정부 부동산 대책에 따라서 대체적으로 비수도권 중 수도권 인접 지역이나 기대가 있는 부동산 시장으로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린다"며 "세종의 경우 행정수도 이전 가능성이 있다 보니 기대심리가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수도권을 보면, 규제지역인 서울의 경우 9월 8986건에서 10월 7251건으로 1735건이 감소했다. 경기도 10월 1만 2713건으로 전월(1만 3659건)보다 946건 줄었다. 다만, 수도권 중에서도 비규제 지역인 화성시와 파주시, 구리시 등은 매매 거래량이 소폭 늘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대책 이후 수도권 주택시장은 규제 강도와 자금 여건 변화에 맞춰 균형을 조정해 나가는 과정으로 보인다"며 "정부의 추가 조치가 이어질 가능성도 남아 있는 만큼 단기적으로는 거래 위축과 수요 이동이 공존하는 혼조세가 지속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대전의 한 업계 관계자는 "지방의 경우 이런 규제로 인한 풍선효과가 오는 시간이 더딜 뿐 아니라 현재 지방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보면, 미분양 등 침체가 있어 반사 이익을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향후 추가 대책이나 지방을 위한 정책 발표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조훈희 기자


![[대전 유학생한마음 대회] "코리안 드림을 향해…웅크린 몸과 마음이 활짝"](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1m/10d/118_20251110010008006000339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