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겨울철 '제설·한파' 대응...15일부터 무결점 대책 추진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 겨울철 '제설·한파' 대응...15일부터 무결점 대책 추진

올 겨울 기온은 평년과 유사, 강수량은 줄 것으로 예상
12일 연동면 제설 전진기지서 장비 및 대응 훈련 등 종합 점검
내년 3월 15일까지 재난안전대책본부로 24시간 상황 관리
제설 전진 기지 6개소 설치, 각종 제설장비 구축 완료

  • 승인 2025-11-15 09:16
  • 수정 2025-11-15 09:43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대설_대응_가상훈련1(자연재난과)
안기은 도로관리사업소장이 고성진 시민안전실장을 비롯한 시청 관계자, 자율방재단원들을 상대로 도로 제설 대책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세종시 제공.
세종시가 2025·2026 겨울철을 맞아 무결점 제설·한파 대책을 추진한다. 올해 겨울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고, 강수량은 대체로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국적인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 기간이 시작되는 15일부터 2026년 3월 15일까지 실시간 상황 관리와 즉각적인 재난 대응 태세를 유지한다.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는 앞선 12일 연동면 소재 제설 전진기지에서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기간 준비 상황을 종합 점검하고 대응 훈련을 가졌다.

고성진 시민안전실장과 안기은 도로관리사업소장, 엄충섭 자연재난과장, 김진희 자연재난예방팀장, 문창식·박종록 주무관 등 시청 관계자들과 시 자율방재단(단장 양길수) 회원들이 이 자리에 함께 하면서, 대응 훈련에 동참했다.



대설주의보 상황을 가정한 제설제 살포 및 자동염수분사장치 가동도 했다. 방재단원들은 인도 제설 역량 강화를 위한 소형 제설 장비 사용법 교육을 받고 직접 시연도 해봤다.

대설_대응_가상훈련(자연재난과)
양길수 방재단장이 단원들에게 마을길 소형 제설 장비 사용법을 설명하고 있다.
시는 이번 대응 기간 비상 1~3단계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통해 24시간 상황 관리를 도모한다. 시장이 본부장, 행정부시장이 차장, 시민안전실장이 총괄조정관 및 통제관, 공보관이 대변인, 자연재난과장이 담당관을 맡고, 실무반이 전반을 뒷받침한다.

세부 대응 구역과 장비 현황을 보면, 도로관리사업소는 북·중·동·서남부권까지 4개 권역 주요 도로(373.3km), 읍면동(마을 제설단)은 생활권 도로(348.6km), 24개 관할기관은 주변 광역도로, 시와 LH는 행복도시 도로를 관리한다. 전체 도로 규모는 721.9km다. 시는 관계 기관들과 비상 연락망도 구축했다.

제설 전진기지는 조치원읍 신안리·남리, 연동면 예양리·명학리, 장군면 금암리, 새롬동 등 모두 6개소에 설치했다.

제설 대책
주요 도로별 제설 장비 현황. 사진=세종시 제공.
제설 차량과 삽날, 살포기는 각 84대, 소형 제설장비는 227대, 다목적 차량은 1대, 염수 교반기는 5대, 염수탱크는 9대를 각각 갖췄고, 제설재는 비축기준 9533톤에 맞춰 1월까지 필요량 확보에 나서고 있다. 제설재 비중은 소금이 8232톤으로 가장 많고, 염화칼슘이 431톤, 친환경 제설재 958톤, 모래주머니 5000개, 제설함 42개로 구축했다.

교량과 고개, 램프, 지하차도 입구 등 결빙·제설 취약구간 20개소에는 자동염수 분사 장치 설치 및 점검을 완료했다.

위험 관리는 결빙 취약 22개소와 제설 취약 35개소 등의 우려 지역 중심으로 하고, ▲정안 IC~정부청사~금남교 ▲비알티 도로 ▲대전~3생활권 BRT ▲오송역~5생활권 BRT ▲국도 1호선 ▲국도 36호선 ▲갈산교~정부청사 ▲국책연구기관~1-1생 연결도로 ▲보롬교~정부세종청사는 우선 제설 구역으로 운영한다. 전통시장 비가림과 축사 등 모두 14개소는 중점관리 위험구역으로 운영한다.

대설_대응_가상훈련2(자연재난과)
이날 대설 대응 현장 훈련에 나선 참가자들이 무결점 대책 추진을 다짐하고 있다.
야간 강설 시 작업은 새벽 2시에 시작하고, 오전 6시 제설 완료 및 잔설 제거를 지침으로 설정했다. 이밖에 인도 제설 등 민원 관리와 주거용 비닐하우스 등 적설 취약 구조물 8개소 및 농축산 시설물(농업시설 비닐하우스 28개동, 축산시설 21개동), 수도 시설, 한파 저감 시설 등의 시설관리에도 만전을 기한다.

취약계층 12만 7408명은 기후재난 민감 대상으로 설정해 지원하고, 한파 쉼터는 읍면동 25곳, 복지관 등 4곳, 마을회관 및 경로당 448곳으로 확대한다. 한파 응급 대피소는 시청과 조치원읍 사무소, 부강면 썸모텔로 정했다. 각종 알림은 전광판과 SMS 등을 통해 진행한다.

고성진 시민안전실장은 "현장 중심의 자연재난 대응체계 구축과 가동 등 전반적인 상황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시민들께서는 대설·한파 행동 요령을 숙지하고 눈 치우기와 안전한 겨울나기에 적극 동참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취약계층 12만 7408명은 기후재난 민감 대상으로 설정해 지원하고, 한파 쉼터는 읍면동 25곳, 복지관 등 4곳, 마을회관 및 경로당 448곳으로 확대한다. 한파 응급 대피소는 시청과 조치원읍 사무소, 부강면 썸모텔로 정했다. 각종 알림은 전광판과 SMS 등을 통해 진행한다.

고성진 시민안전실장은 "현장 중심의 자연재난 대응체계 구축과 가동 등 전반적인 상황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시민들께서는 대설·한파 행동 요령을 숙지하고 눈 치우기와 안전한 겨울나기에 적극 동참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KakaoTalk_20251115_091140600
세종시 고운동과 다솜동(사진) 에 위치한 도로터널관리사무실 내 중앙제어실.
KakaoTalk_20251115_091140600_02
램프 구간에서 자동염수분사장치 분사 시연 모습.
KakaoTalk_20251115_091140600_03
방재단 단원들이 마을길 제설 장비 시연에 나서고 있다.
KakaoTalk_20251115_091140600_04
양길수 방재단장의 시연 모습.
KakaoTalk_20251115_091140600_05
도로 제설장비로 염화칼슘을 살포하고 있는 모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3.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1.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2.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3.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4.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5. ‘수능 끝, 해방이다’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