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수]인터넷과 스마트폰

  • 오피니언
  • 사외칼럼

[김석수]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도춘추]김석수 한남대 멀티미디어학부 교수

  • 승인 2013-02-06 14:20
  • 신문게재 2013-02-07 20면
  • 김석수 교수김석수 교수
▲ 김석수 한남대 멀티미디어학부 교수
▲ 김석수 한남대 멀티미디어학부 교수
현재 우리는 정보화시대를 맞이해 인터넷과 스마트폰 세상에서 살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 검색으로 필요한 정보를 얻고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이 일반화 된 일이다.

인터넷은 전 세계의 컴퓨터가 연결된 거대한 통신망이다.수많은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메일이나 채팅 등은 물론 우리가 인터넷 쇼핑이나 회사 또는 기관업무 및 여러 가지 정보검색도 할 수 있다.

즉 인터넷은 단순한 통신망이 아니라 또 하나의 세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인터넷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어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인터넷은 원래 미 국방성에서 연구원들과 관련업체들 간의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1969년 아르파넷(ARPAnet)이라는 이름으로 탄생되었으며, NCP라는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였다.

이 아르파넷의 사용자들이 늘어나면서 원격 로그인 기능, 파일 전송 기능, 전자 우편 기능, 기타 기능들이 보강됐으며, 점차로 아르파넷의 사용자가 늘면서 접속을 원하는 컴퓨터의 기종들도 매우 다양해졌으며, 현재에 이르러 거의 전세계 어디서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그 사용자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또한 언제 어디서나 우리가 쉽게 사용하는 정보기기는 스마트폰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을 이용해, 전화통화는 물론 인터넷 정보검색, 문자전송, 카메라등 기타 각종 앱을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2007년 6월 미국에서 첫 아이폰 출시에 이어, 2008년에 아이폰 3G가 출시되면서 스마트폰 확산의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

그 이후 구글이 주도하는 스마트폰 플랫폼인 안드로이드가 출시되었으며, 우리나라는 2009년에 삼성이 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겨냥해 옴니아를 출시한 것이 우리나라 스마트폰의 시작이다.

그 이후 기존의 여러 핸드폰제조회사에서 스마트폰을 출시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시리즈가 세계 스마트폰의 역사를 새로 써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발전도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다양한 활용을 통한 사용자수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확산의 이유를 보면, 먼저 컴퓨터나 정보기기의 각종 HW(전자회로(IC 및 반도체)) 및 LCD, 배터리, 기구디자인의 발전이며, 또한 이를 뒷받침해주는 각종 SW(운영체제, 압축 및 정보보호관련 SW,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각종 SW)의 발전이 뒷받침하였다. 또한 초고속 및 무선인터넷 망의 발전이 뒤따르며,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사용자 수준 및 문화도 많은 영향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및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활용이 우리생활의 많은 편리함을 준 것이 사실이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도 적지 않다.

댓글 등 익명성을 쓰게 되어 상대를 비방하거나, 저작권자료(영화나 MP3, 게임 등의 자료)를 P2P(개인과 개인)의 공유를 통해 서로 분별없이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인터넷을 서핑을 하다보면 잘못된 정보나 나쁜 정보를 접할 수 있다.

또한 지나친 인터넷 사용으로 중독되어 정신적인 질환에 시달릴 수도 있으며, 청소년들에게 무분별한 음란물의 접근이 쉬워지기도 하며, 개인정보 침해 및 각종 사이버 범죄등 기타 부작용이 많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에 따른 정부나 학교 및 가정에서의 인터넷 사용에 관한 교육 및 주의사항을 지속적으로 제시해, 부작용 없는 유익한 인터넷사용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3.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1.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2.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3. [대입+] 종로학원 2026 수능 가채점 정시 분석… 서연고 경영 280점대, 의대는 290점 안팎
  4. 한남대, 2025 산학프로젝트 챌린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5. 세종시 어린이들의 '가족 사랑' 그림...최종 수상자는

헤드라인 뉴스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한 정시 합격선 예측에서 서울 주요 대학의 경영·의학계열 합격선이 280~290점대에서 형성될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문과 지원확대와 의대 정원 원복, 탐구영역 선택 변화 등으로 인해 정시 지원전략에서 문·이과 모두 경쟁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종로학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어·수학·탐구(2) 원점수 합 기준으로 서울대 경영대학 합격선이 284점, 연세대·고려대 경영이 280점, 성균관대 글로벌경영이 279점, 서강대 경영학부 268점, 한양대 정책학과..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활약에 힘입어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1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에서 2-0으로 승리했다. 홍명보 감독은 4-2-3-1 포메이션을 꺼내 들었다. 9월과 10월 A매치에서는 스리백을 시험했지만, 이날은 포백을 통해 선수들의 기량을 점검했다. 손흥민을 원톱에 세운 뒤 2선에 황희찬과 이재성, 이강인을 배치해 공격 라인을 꾸렸다. 중원조합은 김진규와 원두재를 내보냈고, 포백라인은 이명재, 김태현, 김민재, 김..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