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제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위해 정치권이 물꼬 터줘야”

  • 정치/행정
  • 국정/외교

“혁신도시 제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위해 정치권이 물꼬 터줘야”

박형준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 대통령실 지역기자단 간담회
시·도마다 이해관계 달라 갈등 불가피… 정부에만 맡기지 말고 정치권이 사전 교통정리 중요
부동산 규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현실 감안한 차별화 정책 필요

  • 승인 2024-10-29 16:38
  • 수정 2024-10-29 17:25
  • 신문게재 2024-10-30 1면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박형준 회장
박형준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이 29일 대통령실 지역기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혁신도시 2차 공공기관 이전사업은 뜨거운 감자이기 때문에 피하는 겁니다.”

“문재인 정부도 못했고, 윤석열 정부도 실행을 못 하고 있죠.”

‘윤석열 정부가 2차 공공기관 이전사업을 사실상 폐기한 것 아니냐’는 중도일보의 질문에 대한 박형준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부산시장)의 대답이다. 10월 29일 지방자치의 날을 맞아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가 마련한 대통령실 지역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다.

박 회장은 “이거(2차 공공기관 이전) 던지는 순간, 지역마다 ‘이거 와야 한다, 저거 와야 한다’며 싸움이 일어날 게 뻔하고, 그 싸움을 감당할 정치적인 힘이 없기 때문에 미룬 것”이라며 “지방시대위원회도 빨리빨리 하자고 요청하고 있는데, 윤석열 정부도 자신 있게 실행을 못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빗발치는 지방정부의 요청에 정부도 하고 싶지만, 지역 간 마찰이 빚어질 가능성이 크고 그에 따른 갈등을 유발했다는 책임이 정부로 쏟아질 수밖에 없어 선뜻 나서지 못한다는 얘기다.

박 회장은 “이런 부분(지역별로 요구하는 기관들)에 대한 사전 교통정리가 어느 정도 돼야 발표할 수 있는데, 안되다 보니…”라며 “정부가 발표한다고 그게 결정되는 게 아니라 그때부터 새로운 갈등의 시작이 되기 때문에 지금 못 하고 있는 게 안타깝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에만 맡겨놓을 게 아니라 결국 지역의 책임을 가진 정당들이 서로 타협을 하고 합의를 하며 논의의 물꼬를 트면서 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실정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정책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했다.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 중심의 부동산 규제정책으로 비수도권이 역차별과 피해를 보고 있다’는 중도일보의 물음에 박 회장은 “(수도권과 지방을 구분한 대출제도를 언급한) 한국은행 총재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부동산 규제 정책의 차별화를 강조했다.

박 회장은 “대한민국 부동산 값이 오르는 건 고소득층 내지 엘리트들이 자녀 교육을 위해 서울과 강남으로 몰리기 때문”이라며 “지방의 부동산은 폭등의 문제가 아니라 건설 경기가 엄청나게 가라앉고 있는데…. 일률적인 정책을 하니까 실효성이 없다.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회의사진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와 대통령실 지역기자단이 29일 서울 광화문빌딩 협의회 회의실에서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국가균형발전의 최대 걸림돌 중 하나로는 대한민국 ‘강남 엘리트’를 지목했다.

박 회장은 “우리나라의 근원적인 문제가 수도권 일극체제, 정확히 얘기하면 강남 일극주의라고 생각한다”며 “엘리트의 80%가 강남에 살거나 강남에서 자녀 교육을 하거나, 강남에 직장이 있다. 이건 틀림없는 얘기”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그들의 세계에서 보면 지방의 문제가 절실하게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기득권과 권한을 내놓는 걸 굉장히 어렵게 생각한다”며 “대한민국을 움직이는 분들이 대부분 강남 감각에 의해 지배되고 있어 문제를 피상적으로는 이해해도 실제 정책이나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는 데는 굉장히 소극적”이라고 진단했다.

박 회장은 “윤 대통령이 지방시대를 열겠다는 생각은 진정성이 있다고 본다”면서도 “대통령이 추동해도 결과는 굉장히 큰 집을 지으려고 했다가 나오는 건 오두막집이 되는 경우도 많다. 이런 부분들이 변화하지 않으면 정책이라는 게 깎이고 마모된다”고 했다.

박 회장은 “다행스러운 건 그래도 이런 문제의식이 공유되는 폭이 좀 넓어지고 있다. 이런 문제들의 간극을 결국은 정치를 통해 풀어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리시장 인근 샌드위치패널 건물 화재… 초진 마쳐
  2.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3.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4.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5.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1. 아산시, "지중해마을에서 가을의 정취 흠뻑 느껴보세요"
  2.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3. 사회안전 지키는 우수 교정공무원 44명 포상…교정의날 80년
  4. [행복한 대전교육 프로젝트]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학교, 대전생활과학고
  5. [춘하추동]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출발점, 기후변화 상황지도

헤드라인 뉴스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한국시리즈(7전 4선승제) 원정 두 경기를 LG 트윈스에 패배한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9일 홈구장인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3차전을 7-3 승리로 장식하며 반격을 시작했다. 한화는 29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3차전에서 LG를 맞아 7-3으로 승리했다. 먼저 앞서나간 건 한화다. 2회 말 채은성과 하주석의 연이은 안타로 1사 1, 2루 기회에서 최재훈은 좌전 안타로 상대 좌익수 포구 실책을 유발하며 선취점을 뽑았다. 그러나, 1·2차전을 모두 승리한 LG의 반격은 날카로웠다...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

2025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인 29일 한미 정상이 만나 난항을 겪던 한미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대미 금융투자 3500억 달러(497조700억원) 중 2000억 달러(284조1000억원)는 현금으로 투자하되, 연간 투자 상한을 200억(28조4040억원)으로 제한하는데 합의했다.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은 29일 오후 경북 경주에 마련된 ‘2025 경주 APEC 국제미디어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한미관세 협상 세부내용을 합의했다"며 협상 내용을 발표했다. 세부 내용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3500억..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10월 최저기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지는 이른 추위가 찾아오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 '붕어빵'을 찾는 발길이 분주하다. 예년에는 11월 말부터 12월 초쯤 붕어빵이 모습을 드러내지만, 올해는 때이른 추위에 일찌감치 골목 어귀에서 붕어빵을 찾는 손님들이 늘어나고 있다. 29일 대전 최저기온이 5도를 가리키는 등 날씨가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인 붕어빵이 지역 상권마다 등장하고 있다. 올해는 예년보다 한 달 먼저 장사를 시작한 김 모(41) 씨는 "보통 11월 말이나 12월 초에 날씨가 급격하게 추워지면 붕어빵 장사를 했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