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푸른 뱀의 변신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푸른 뱀의 변신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4-12-27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2025년이 솟아나기 위해 숨 고르는 시점이다. 60간지의 42번째 해로 을사(乙巳)년이다. 을은 푸른색, 사는 뱀을 의미하기 때문에 '푸른 뱀'의 해라한다. 12지는 해당 동물의 특성에서 유래한 것이겠으나 그 해 태어난 사람의 특성이나 상징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뱀을 신비롭고 직감적이며 깊은 통찰력과 지혜, 변신과 치유의 상징으로 여긴다. 탈피하며 성장하기에 재생과 변화의 이미지가 있다. 따라서 뱀띠 생은 사려 깊고 상황 분석 능력이 뛰어나다거나, 두뇌회전이 빠르고 표현력이 뛰어나다고 한다. 두루 알다시피 성경에는 뱀이 여자에게 선악과를 따먹도록 유혹하는 사탄으로 등장한다. 뱀은 여자 유혹이 가능할 정도로 간교하거나 지혜가 뛰어났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동물의 행동, 습관, 독특한 능력을 살피고, 전설, 민담, 신화로 전해지는 동물의 교훈에서 지혜를 얻고자 한 책이 있어 흥미롭게 읽은 적이 있다. 동물이 전하는 지혜의 메시지가 이채롭다. 돈 바우먼 브런 저, 임옥희 독 《에니멀 티칭》이다. 변신이 주제인 11장에 뱀의 메시지가 전한다. 11장에 뿐 아니라 여러 장에 걸쳐 변신, 성장, 창의성, 지혜, 영감, 소통, 치유 등의 내용이 반복적으로 나온다. 필수불가결한 삶의 요소이기 때문 아니랴? 별도로 악어, 박쥐, 딱정벌레, 나비, 뱀을 묶은 것은 변신이 돋보인 탓이리라.

먼저 "탄생과 죽음, 창조와 파괴, 시작과 끝처럼 변신은 형태, 특징, 본성, 혹은 위상에서의 변화를 의미한다."고 전제한다. "변신은 이전과 이후, 옛것과 새것을 연결하며, 이것이 저것으로 바뀌는 것이다." 변신을 두려워하거나 원치 않을 수도 있고, 익숙한 것에 의존할 수도 있다. "변신은 기쁨이기도 하다. 탄생과 느닷없는 영감, 계몽의 빛, 새로운 세계관 등은 환희를 동반한다. 변신은 한껏 우리의 마음을 활성화하고 고무시키며, 영혼을 한껏 드높인다."



뱀 부분도 요약해 본다. 뱀은 창조, 지혜, 재탄생, 변신의 이미지가 연상, 전체성과 불멸성의 상징이요, 경외와 숭배의 대상이라 한다. 우주적인 의식으로 잠든 에너지를 일깨운다. "혀로 냄새 맡고 숨겨진 귀로 저주파 소리까지 포착하며 지하세계의 신비와 비밀을 감지한다." 뱀은 주기적으로 허물을 벗는다. 낡은 신념과 망상, 한계로부터 벗어나려 한다. 뱀은 허물벗기 전 먹지 않고 몸을 숨긴다. 둔감해진 외피가 떨어져 나간다. 새로운 존재로 태어난다. 경험을 통한 지혜로 변신한다. 원초적 생명에너지와 창조력으로 새롭게 성장하는 길을 열고, 영적인 변신을 주도한다.

좀 더 덧붙이면, 뱀의 혀는 가늘고 길며 끝이 두 갈래인데, 주위의 환경이 달라지면 시종 입 밖으로 내고 날름거린다. 보통 때에는 입속 혀 주머니 속에 넣고 있다. 혀는 대단히 민감하여 쥐나 개구리 등의 먹거리가 지나간 자국을 혀로 더듬어 먹이가 숨어 있는 곳까지 찾아간다고 한다. 허물 벗는 것은 탈피라 한다. 뱀은 매년 1회 이상 탈피하며, 만약 탈피하지 못하면 각질화 되어 자연사하게 된다. 물론, 외골격, 비늘 등 피부가 딱딱한 동물이 성장하기 위해 교체하는 생물학적 과정이다. 깃털, 뿔, 털, 표피의 교체도 이에 포함된다.

우리가 뱀이 징그러운 모양이라 생각하며 혐오감을 갖는 것은 주로 학습효과라 한다. 설화나 전설 속에서 종종 인간을 해치려는 사악한 존재, 죽음을 전하는 사탄의 상징으로 등장하기 때문이다. 어린아이 때는 오히려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그를 입증한다. 반면에 신의 상징으로 신성시하거나 숭배하는 경향도 있다.

두려워하기도 한다. 실은 뱀이 사람에게 먼저 공격하는 경우는 드물다. 사람의 체고가 훨씬 크기 때문이다. 동물이 보통 낯선 상대를 공격대상으로 삼고자 할 때는 외모로 판단한다. 동물의 습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가깝게 접근하거나, 등 돌리고 달아나는 경우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다. 인간 보다 뱀이 인간을 더 무서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탈피는 매우 고된 과정이지만 반드시 필요하다. 절지동물은 상대적으로 더 힘들다. 파충류, 양서류 등은 탈피로 피부기생충이나 세균 등을 떨쳐 내기도 한다. 포유류나 조류의 털갈이는 체온 조절을 위함이다.

지구상에 생명체가 사람만 있는 것이 아니다. 어마어마한 동식물이 있다. 그들은 끊임없이 우리에게 대화를 시도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들은 늘 외치고 있지만 우리가 외면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장벽이 되지 않았을까? 모든 생명체가 저마다 갖고 있는 삶의 지혜가 있다. 간과하고 있지나 않은 지, 살펴볼 일이다. 사람과 사람사이도 다르지 않다.

다사다난했던 한 해가 저무는 세모이다. 새로운 비전으로 탈피해야겠다.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이 용솟음쳐야 성장의 미래가 있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장과 국회의원 만남... 현안 해결 한뜻 모을까
  2. 충청권에 최대 200㎜ 물폭탄에 비 피해신고만 200여 건 (종합)
  3.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교실 복도 곳곳 균열… 현장 본 전문가 의견은
  4. 폭우 피해는 가까스로 피했지만… 배수펌프·모래주머니 시민들 총동원
  5. 대전 대표 이스포츠 3개 팀 창단
  1. [월요논단] 충청권 메가시티를 위한 합리적 교통망에 대한 고찰
  2. 조원휘, "충청권 광역철도망 확충은 국가균형발전과 직결"
  3.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이전 기념식 가져
  4. 대전 동구, '중앙시장 버스전용주차장' 운영
  5. 충청 여야,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강대강 대립… 협력 없이 네 탓만?

헤드라인 뉴스


미카 129호 어떻게 되나… 코레일 `철도기념물 지정` 예정

미카 129호 어떻게 되나… 코레일 '철도기념물 지정' 예정

딘 소장 구출 작전에 투입됐다며 전쟁 영웅으로 알려졌던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에 대한 역사적 사실이 뒤바뀌면서 이를 바로잡기 위한 절차가 본격 진행된다. 6·25 전쟁에 투입됐고, 한국 철도 역사에도 큰 역할을 했다는 이유로 국가등록문화유산에 등재됐던 미카 129호가 결국 등록 말소되면서 대전 지역 곳곳에 놓여있는 여러 상징물에 대한 수정 작업에 속도를 내는 것이다. 23일 본보 취재에 따르면,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가 지난 12일 국가등록문화유산에서 말소됐다. 당시 북한군에 포위된 제24사단장 윌리엄 F. 딘 소장을 구..

벽걸이형 에어컨 냉방속도 제품마다 최대 5분 차이
벽걸이형 에어컨 냉방속도 제품마다 최대 5분 차이

벽걸이형 에어컨의 냉방속도가 제품마다 최대 5분가량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에어컨 설정·실제 온도 간 편차나 소음, 가격, 부가 기능도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벽걸이형 5종인 7평형 에너지소비효율등급 1등급 제품 LG전자(SQ07FS8EES)와 삼성전자(AR80F07D21WT) 각 1종, 6평형 5등급 제품 루컴즈전자(A06T04-W)·캐리어(OARB-0061FAWSD)·하이얼(HSU06QAHIW) 각 1종에 대해 평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냉방속도는 삼성전자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국힘 충청권 국회의원·당협위원장 “해양수산부 이전 철회하라”
국힘 충청권 국회의원·당협위원장 “해양수산부 이전 철회하라”

국민의힘 소속 충청권 국회의원과 당협위원장들이 23일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수부 부산 졸속 이전은 충청도민에 대한 심각한 배신행위”라며 “이미 오래전에 국민적 합의가 끝난 행정수도 건설을 사실상 포기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또 “행정수도 건설은 특정 지역의 유불리와 관계없는 일이다. 헌법 제123조에 명시된 가치인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진행돼온 일이며, 대한민국 전체와 모든 국민을 위한 일”이라며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이 해수부 이전을 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첫 여름김장 봉사 ‘온정 듬뿍’ 대전 첫 여름김장 봉사 ‘온정 듬뿍’

  • 호르무즈 해협 봉쇄 우려에 국제유가 상승 호르무즈 해협 봉쇄 우려에 국제유가 상승

  • 장맛비에 잠긴 돌다리…‘물이 넘칠 때는 건너지 마세요’ 장맛비에 잠긴 돌다리…‘물이 넘칠 때는 건너지 마세요’

  •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