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석환 대표 |
일하는 방식의 혁신은 업무의 효율과 효과를 위해 무엇을 개선해야 하는가에 있다. 문제 중심의 개선은 바뀐 것 같지만 조금 지나면 원위치가 되어 버린다. 내면적인 가치와 사고의 혁신이 개선되지 않고는 일하는 방식은 바뀌지 않는다. 구성원들은 리더의 생각이나 방식에 역행하려 하지 않는다. 리더는 유사한 상황이나 과제에 대해서는 했던 방식을 답습하게 된다. 리더가 바람직한 모습과 틀을 잡아주고 본을 보여야 한다. 사고와 일하는 방식의 변혁은 CEO, 임원부터 관리자 그리고 직원으로 내려와야 한다.
일하는 방식의 저해 요인은. ① 내부 지향적 가치에 매몰되어 사업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한다. ② 부서와 개인 이기주의 ③ 흔들리는 회사와 개인 비전 ④ 일방적이고 획일적인 인사 제도 ⑤ 상호 의존의 비효율 문화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회사가 추구하는 비전과 설정한 전략과 방안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결코 혼자 해낼 수 없다. 임직원이 한마음이 되어 한 방향으로 가야 한다. 악착같은 실행이 뒤따르지 않으면 성과는 절대 창출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 첫째, CEO부터 솔선수범하여 본을 보여야 한다. 둘째, 고객 중심의 일하는 행동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 셋째, 강한 Empowerment를 통한 명확한 결정과 위임이다. 넷째, 보고와 회의 문화의 개선이다. 다섯째, 인사 제도와의 연계이다.
한순간에 사고와 행동의 방식이 변할 수 없다. 주관 부서를 정해 작은 것부터 철저하게 일상화되도록 가져가야 한다. 일하는 방식의 변화는 기업의 특성에 따라 다르겠지만, 경영층부터, 내적 가치부터, 제도적 구축, 철저한 점검과 피드백으로 지속하는 방안이 가장 효과적이다.
/홍석환 대표(홍석환의 HR전략 컨설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