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상진 시의원./부산시의회 제공 |
해양수산부 이전 논의, HMM 본사 유치 검토, 해사법원 설립 검토 등 해양 중심 국가 정책의 흐름 속에서 부산이 유리한 입지를 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기업 이전을 위한 준비는 아직 부족하다고 지적하며 '골든 타임'임을 역설했다.
조상진 의원은 현재 부산이 겪고 있는 산업용지 부족 및 높은 가격, 그리고 고급 인력 수급의 어려움을 지적했다.
또한,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한 정주 여건이 크게 미흡하다는 점을 꼬집으며, 직원들의 주거, 자녀 교육, 출퇴근 문제 등 생활 기반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으면 기업 유치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비판했다. 이는 기업들이 부산을 떠나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경고했다.
조상진 의원은 부산시가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기업 유치를 위한 파격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세 가지 주요 과제를 제언했다.
첫째, 해운기업 유치와 해운 항만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글로벌 해운항만 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정의 기초 마련을 요청했다.
이 특별법에는 행정특례, 세제 혜택, 기업 이전 비용 지원, 연구개발 지원, 해양금융 프로그램 등 다양한 지원책을 담아 부산이 해운물류 중심 도시로 성장할 제도적 틀을 제공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둘째, 산업용지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산업단지 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교통 접근성이 좋고 직주근접이 가능한 저렴한 가용지를 신속히 확보해 전입 기업 수요에 파격적인 조건으로 공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셋째, 전입 기업 직원들의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해 주택 특별공급, 기숙사 건설 등 주거 안정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재정적 인센티브만으로는 기업 유치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으며, 사람 중심의 정착 기반이 갖춰져야 진정한 의미의 유치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역설했다.
조상진 의원은 발언을 마무리하며 "부산의 바다와 항만은 여전히 경쟁력 있고 매력적인 자산이지만, 구체적인 전략과 실행력이 연결되지 못한다면 기업들은 부산을 떠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또한, "지금이야말로 창의적이고 파격적인 유치 전략을 통해 반전의 계기를 만들 수 있는 골든 타임임을 강조"하며 부산시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