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영진 시의원./부산시의회 제공 |
최 의원은 4차 산업혁명과 탄소중립 이행에 따른 산업 구조 변화에 주목하며, 세계경제포럼(WEF)의 '2025 미래 일자리 보고서'를 기반으로 부산시의 선제적 대응과 교육 정책의 변화를 주문했다.
최영진 의원은 WEF의 '2025 미래 일자리 보고서'가 제시하는 충격적인 전망을 언급하며 발언을 시작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까지 약 9200만 개의 일자리가 소멸하고, 1700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로봇과 자동화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과 기계가 협력하는 형태가 확대될 것이며, 향후 5년 동안 직업을 바꾸는 사람이 1억 명을 넘고, 새로운 기술을 갖춘 인재의 수요는 약 900만 명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최 의원은 이러한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부산시의 현재 일자리 정책이 가진 한계를 지적하며,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최영진 의원은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과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ition)'에 대한 부산시의 책임과 의무를 강조했다.
정의로운 전환은 기후변화 대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업 구조 변화에 따른 실업, 소득 감소 등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모든 시민이 공정하게 새로운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념이다.
더불어 최 의원은 부산시교육청에도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을 촉구했다. 과거 분석력이 강조됐다면, 이제는 창의력이 필요한 시대임을 역설하며, 변화하는 산업 구조에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정책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인재 양성이 부산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