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선호 시의원./부산시의회 제공 |
반 의원은 산업단지, 도시철도, 학교 등 부산 곳곳에서 묵묵히 일하는 노동자들이 구조적 무관심 속에 방치되어선 안 된다고 강조하며, 부산시정의 자화자찬식 정책 기조를 비판하고 차별 없는 노동권 보장과 정책 전환을 거듭 강조했다.
반선호 의원은 부산 지역 노동자들의 구체적인 어려움을 지적했다. 전국 특·광역시 중 가장 많은 39개의 산업단지를 보유한 부산에서, 이들 단지에서 일하는 12만 5000여 명의 노동자 중 다수가 유해물질이 묻은 작업복을 가정에서 세탁하고 있음을 밝혔다.
부산노동권익센터 실태조사에 따르면 81%가 집에서 직접 세탁하며, 78%는 건강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나 작업복 세탁소 확대를 통한 공공 서비스 제공이 시급하다고 역설했다.
또한, 800여 명의 도시철도 청소노동자 중 상당수가 60세 이상 중장년 여성으로, 주 6일, 하루 12시간 가까운 고강도 교대근무에 시달리며 전국 평균보다 약 20% 많은 연간 2346시간을 노동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의 근골격계 질환 호소율은 80%에 달하며 과로와 야간근무에 따른 건강 피해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단순히 인건비 문제가 아닌 노동자 건강권과 안전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교 청소노동자 역시 낮은 임금, 과중한 노동, 상시근무 미보장 등으로 취약한 처지에 놓여 있음을 밝히며,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제도적 보완과 적극적 지원을 약속했다.
반 의원은 이처럼 열악한 노동 현장의 현실을 외면한 채 '고용률 역대 최고치', '상용근로자 100만 시대 진입' 등 고용 수치를 내세워 자축하는 부산시 행정의 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우리가 진정으로 축하해야 할 고용은 숫자가 아니라 사람의 삶을 바꾸는 고용이어야 한다"며, "기초적인 노동권조차 보장되지 않는 현실에서 고용 수치를 내세운 자축은 공허할 뿐"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반 의원은 플랫폼 노동자, 프리랜서, 특수고용직을 포함해 일하는 모든 이들이 차별 없이 존중받아야 한다고 강조하며, "노동의 가치는 말이 아닌 제도와 사회의 책임에서 비롯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발언을 마무리하며 "부산이 노동이 존중받는 도시로 나아가려면 이제는 구호가 아닌 실천, 선택이 아닌 책무로 응답해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