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시청 전경./부산시 제공 |
박형준 시장은 "시민의 안전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하며,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재난약자 화재 예방 전담팀(TF)'을 꾸려 집중적으로 화재 안전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노후 공동주택과 사회복지시설 등 화재 취약 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안전 점검과 함께, 아이돌봄 서비스 확대, 안전용품 보급, 교육 및 훈련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재난약자의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3개 반 14개 부서·기관이 참여하는 전담팀을 구성했다. 이 팀은 매월 회의를 열어 부산시 실정에 맞는 취약시설 화재 예방 대책을 수립하고, 8월 발표 예정인 범정부 종합대책에 맞춰 세부 계획을 보강할 예정이다.
부산시는 아이가 성장 단계별로 공백 없는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강화한다. 우선, 내년 '아동돌봄 AI 통합 콜센터'를 구축해 365일 24시간 언제든 필요한 돌봄 정보를 안내할 예정이다.
또한, 야간 돌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취약계층 아이돌보미의 야간 수당을 긴급 추가경정예산으로 지원하고, 야간 보육 어린이집과 시간제 보육 제공 기관을 확대 운영한다. 취학 아동을 위한 야간 돌봄 기관 운영 시간도 오후 10시까지로 연장하고, 관련 기관을 2026년까지 58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재난 약자가 많이 거주하는 노후 공동주택의 화재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도 추진된다. 오는 8월 말까지 스프링클러 미설치 현황을 전수조사하고, 소방재난본부와 합동으로 긴급 화재 안전 점검을 실시한다.
아울러, 총 1만7000세대에 전기 안전 멀티탭과 단독 경보형 연기 감지기를 보급하며, 내년에는 노후 아파트 30세대에 목재 방화문 설치 시범사업을 추진해 화재 발생 시 안전한 대피 공간을 확보할 방침이다. 부산도시공사는 임대 아파트에 소화기를 지급하고, 간이 스프링클러 설치를 확대할 계획이다.
화재 예방을 위한 시민 교육과 홍보도 강화된다. 노후 아파트 인근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소방안전교육을 지속하고, 화재 우려가 있는 아파트 입주민을 대상으로 소방 훈련을 실시한다. 또한, 멀티 콘센트 사용법과 대피 요령 등 화재 예방 정보를 SNS와 유튜브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적극적으로 알릴 예정이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