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시청 전경./부산시 제공 |
재난 위험 등급인 D, E 등급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총 30세대 중 절반인 15세대가 이주를 결정했거나 임대주택 신청을 완료했다.
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부산도시공사 등 협약 기관들과 함께 위험한 주거 환경에 놓인 시민들을 위한 지원을 계속 이어갈 방침이다.
부산시는 위험 등급 공동주택 거주자들에게 실효성 있는 주거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주요 지원 내용은 △주택 소유 여부와 관계없이 2년간 무조건 임대주택에 입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중구, 영도구, 서구와 협력해 임대보증금 융자와 이사비를 지원한다.
이번에 이주를 결정한 15세대 중 11세대는 LH, 2세대는 부산도시공사를 통해 임대주택을 신청했으며, 나머지 2세대는 이사비 지원을 받아 이주를 마쳤다.
지역별로는 중구 10세대, 영도구 1세대, 서구 4세대가 지원을 받았다. 특히 서구의 길산빌라는 D등급이지만 주거 위험이 높다고 판단돼 거주자 4세대 모두가 지원을 신청했다.
부산시는 아직 이주하지 않은 15세대에 대해서도 꾸준히 소통하며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김기환 부산시 시민안전실장은 "위험한 환경에 놓인 주민들이 안전한 곳으로 신속하게 이주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시는 이번 협약과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시민의 안전 확보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방침이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