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청군 호우피해 통합지원본부 전경<제공=산청군> |
전체 1026건 중 825건이 완료됐으며, 도로·하천·산사태 등 주요 피해 시설에 대한 복구가 집중적으로 진행됐다.
사유시설 피해는 총 983건으로 집계됐으며, 농작물 침수 938ha, 원예시설 208ha 등 실제 생계와 연결된 피해가 컸다.
전기 5929호와 상수도 4063호는 100% 복구됐고, 이동통신 기지국과 유선 인터넷도 전면 정상화됐다.
대피 인원은 총 2859명이며, 현재까지 236명이 귀가하지 못하고 17개소 임시대피소에 머물고 있다.
산청군은 현재까지 총 4만3811명 인력을 투입했고, 자원봉사 급식은 누적 5만226명분이 제공됐다.
응급 복구에는 굴삭기·덤프 등 총 9,236대의 장비가 투입됐으며, 세탁차·급수차 등 생활 필수 인프라도 병행 지원됐다.
구호물품은 총 57만6451점이 전달됐고, 생수·모포·구호키트 외에 현장 밀착형 생필품도 적시에 배포됐다.
산청군은 이재민 대상 상담센터 운영을 통해 법률·금융·주거 분야 422건 상담을 완료하며 심리적 회복도 병행하고 있다.
복구 초기부터 수립된 7차례 대책회의, 17차례 이상 고위급 현장점검, 23대의 이동세탁차 배치는 현장 중심 대응의 상징이 됐다.
그러나 장기 미귀가 세대의 생활 안정, 농경지·축사에 대한 실질 지원 확대 등은 향후 과제로 남아 있다.
응급복구의 끝이 복구의 끝이 아님을 보여주는 지점이다.
도로는 닦였지만, 마음의 흙탕물은 아직 가시지 않았다.
복구는 숫자가 아닌, 다시 걷는 발걸음에서 완성된다.
산청=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