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전경./한수원 제공 |
이 기술은 한수원 중앙연구원 통합예측진단(AIMD)센터에 적용된 것으로, 국내 최초로 상용화됐다.
이번 기술이전을 통해 한수원은 협력 기업과의 동반 성장을 도모하고, AI 기반 설비 진단 기술의 산업 전반 확산을 기대하고 있다.
이번에 이전된 자동예측진단기술은 원격지 발전소의 주요 설비 데이터를 수집하고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설비 고장을 사전에 예측하고 진단하는 시스템이다.
7년간의 개발과 GS(Good Software) 인증을 거쳐 현재 국내 원자력발전소에 적용되고 있다. 이 기술은 기존의 단순 감시를 넘어 상태기반정비(CBM)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인프라로, 발전소의 안전성과 운영 효율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기술을 이전받은 ATG는 이 기술을 발전 분야뿐만 아니라 수도 산업까지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실제로 ATG는 최근 한국수자원공사(K-water)와의 신규 사업 계약을 통해 한수원의 자동예측진단 기술을 처음으로 사업화하는 성과를 거뒀다.
신호철 한수원 중앙연구원 원장은 "이번 기술이전을 시작으로 AI 기반 설비진단 분야 전문 중소기업들과 협력을 강화해 기술 생태계를 주도하고 지속가능한 동반성장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