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돈곤 청양군수가 7월 집중호우 피해를 입은 주민을 위로하고 있다. |
7월 16~20일 이어진 집중호우로 군 전역에서 크고 작은 피해가 발생했지만, 군은 곧바로 재해복구 전담 TF팀을 구성하고 본격적인 복구 체계에 돌입했다.
이번 호우로 공공시설과 사유시설을 합쳐 2286건의 피해가 발생했다. 복구에 필요한 비용은 약 385억 원으로 추산된다. 정부는 8월 6일 청양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으며, 군은 확보한 국비를 바탕으로 신속한 재해복구에 나서고 있다.
군이 호우 피해로 특별재난지역에 선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2년 여름 집중호우로 42세대 87명이 긴급 대피하고 6천여 건의 시설 피해가 발생했다. 당시 복구비는 661억 원에 달했으며, 군은 온직천 정비 사업을 통해 피해 시설을 100% 복구했다.
2023년에는 더 큰 피해가 찾아왔다. 정산면에서 산사태로 주택이 매몰되고 280세대 424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피해 건수는 9200여 건, 피해액은 379억 원으로 집계됐다. 군은 지천 정비 사업 등에 789억 원을 투입해 현재까지 80%의 복구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2022년, 2023년, 2025년 연속으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군은 매번 막대한 피해에도 빠른 속도로 복구를 이뤄내며 위기 대응 역량을 축적해왔다. 특히 단순한 원상 복구에 그치지 않고 재해 취약 구간을 보강하고 기능을 복원하는 '개선 복구' 방식을 도입해 같은 피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했다.
이번에도 군은 신속성과 효율성을 최우선으로 삼았다. 부군수를 단장으로 33명 규모의 TF팀은 안전총괄과, 건설정책과, 산림자원과, 도시건축과, 농정축산실 등 부서가 참여하고 있다. TF팀은 피해 시설 169건을 대상으로 복구 계획을 세우고, 올해 12월까지 실시설계와 사전심의, 사업 발주 절차를 마무리한다. 이어 2026년 장마철 이전까지 모든 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군은 인허가 기간을 단축하고 계약과 입찰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며 관급자재를 일괄 발주하는 방식으로 복구 속도를 높이고 있다. 선금 지급을 활성화해 예산 집행을 앞당기고 매주 사업 현황을 점검하며 문제 발생 시 즉시 대책을 마련하는 등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있다.
군은 피해 주민의 생활 안정을 위해 긴급 재난지원금 지급, 농기계 피해 보조, 임시 주거시설 운영 등을 지원하고 있다. 과거 복구 경험에서 시설 복구보다 생활 안정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은 만큼 이번에도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재해 복구는 단순한 시설 복구가 아니라 군민의 삶과 안전을 지켜내는 것으로 선제적 안전 관리와 개선 복구를 통해 ‘비가 와도 무너지지 않는 청양'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군은 재해 재발 방지를 위해 선제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하천 제방과 도로, 농업 기반시설 등 취약 구간을 집중 점검하고 구조적 보강 공법을 적용해 같은 피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기상 악화 시에는 비상연락체계를 수시로 점검하며 위험 요인을 우선 시공하는 방식으로 예방력을 높이고 있다.
김돈곤 군수는 "세 차례 연속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군이 자연재해 위험에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동시에 얼마나 단단히 극복해왔는지를 말해준다"며 "군민의 일상 회복을 앞당기기 위해 신속하고 투명한 복구를 완수하겠다"고 밝혔다.
청양=최병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