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천식 배재대 특임교수, 도시공학·행정학 박사, 지역과미래연구소장 |
현대사회는 유례없는 엄청난 사건과 사고들로 규정할 수 있으며 자칫 잘못되면 인류 문명의 파멸로 나아갈 수 있는 역사상 최초의 위험하고 심각하며 예측 불가능하고, 다층적으로 상호 연관된 재앙과 위기 동반 사회라고 할 수 있다. 기후 변화와 인구 문제, 환경 오염의 심각성, 기술 발전의 무한 지속과 통제 곤란, 국가 와 지역 간 불균형, 전염병의 세계적 창궐과 핵전쟁 발발 가능성 등은 우리 세대가 직면하고 있는 현실이며 위협 요인이 된다. 현대사회의 특성은 VUCA (Volatility·Uncertainty·Complexity·Ambiguity)로 표현되는 변동성, 불확실성, 복잡성, 애매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현대사회가 매우 빠르게 예측하기 어려운 변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알 수 없고 통제 불가능한 다양한 구성 요인, 명확하지 않은 정보의 홍수와 모호한 상황으로 인해 올바른 의사결정과 방향 설정이 매우 어려운 대혼란의 시대임을 의미한다.
지역 문제 또한 세계적 현황과 긴밀하게 상호 관련돼 있으며 서로 복잡하게 얽혀있다. 국가와 세계를 포함하지 않는 지역 중심의 협소하고 단편적인 사고와 단일분야 중심의 접근방식으로는 합리적이며 설득력 있는 해결 방안을 절대로 찾을 수 없게 된다. 우리가 주변에서 자주 목격할 수 있는 무수한 정책 실패 사례와 유력 기업의 몰락 등은 결국 복합적인 문제 요인을 단편적으로 해석하거나 편향된 해결 방안 모색에 치우친 경우라고 생각해도 무방할 것이다. 일상생활이 주로 이뤄지는 지역 기반의 사소한 문제라도 획일적이며 단선적이고 전통적인 사고방식으로는 문제인지나 해결방안 모색이 불가능하다. 결국 융복합적 문제인지와 해결이 요구되는 융복합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고 융복합 지식 전문가의 시대가 온 것이다. 융복합 지식 전문가는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수단을 융합해 복합적인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전문가를 말한다. 융복합 전문가는 일방적이며 자기중심적으로 고착화된 세계관을 탈피하고 유동적으로 변화를 인식하며 단일분야 전문성을 초월하는 다양한 경험과 지식, 기술을 보유하거나 협력체계를 구축할 수 있어야 한다. 융복합 지식 전문가는 지역사회의 복합적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문제를 재정의해 해결 방안을 창의적으로 제시한다. 융복합 지식 전문가는 새롭고 다양한 현안 중심으로 스스로를 재학습해 사고의 경계를 확장하고 새로운 관점을 생성하며 통합적 사고를 통해 실질적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지역 문제를 해결할 수있는 융복합 지식 전문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데이터 분석 능력과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능력을 동시에 보유하는 것이 당연하다.
지역 문제 기반 융복합 지식 전문가의 역할과 자질은 복잡하게 전개되는 시대적 상황과 상호작용하며 변화하고 성장하며 진화한다. 융복합 지식 전문가는 이해관계자의 요구와 대의명분을 조화롭게 배열하고 공감대를 형성해 여론으로 제시하는 역량도 갖춰야 한다. 지역 문제 기반 융복합 지식 전문가는 지역의 독특한 물리 자연적 특성과 문화, 사회, 경제 상황을 깊이 있게 분석해 전체적 맥락을 파악하고 맞춤형 문제 진단과 적절한 해결방안 제시와 실현으로 마무리해야 한다, 각급 지자체와 공공기관, 지역 관련 기업에서도 지역 기반 융복합 지식 전문가의 역할과 성과 창출 관련 기대가 점점 커지고 있다. 융복합 지식 인재는 지역과 미래를 향해 자신의 보유 역량과 열정을 다해야 한다는 소신으로 출범한 '배재대학 부설-지역과미래연구소'를 아끼고 관심 가져 주시는 분들이 많아지는 것은 또 다른 보람이다. /신천식 배재대 특임교수, 도시공학·행정학 박사, 지역과미래연구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