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25 세계평화포럼./부산시 제공 |
부산시와 부산글로벌도시재단은 7일 웨스틴조선 부산에서 '2025 세계평화포럼(World Peace Forum 2025)'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인류가 직면한 복합적 위기와 갈등 속에서 지속 가능한 평화와 국제협력의 방향을 모색하는 장으로 마련됐다.
이 행사는 '2025 부산유엔위크(UN Weeks in Busan)'의 핵심 행사이자 '세계평화 중심도시 부산'을 대표하는 글로벌 포럼이었다.
포럼은 전문가 담론·청년 참여·문화예술이 결합한 복합형으로 기획돼 시민이 함께 공감하고 참여하는 열린 평화 플랫폼으로 확대됐다.
올해 포럼은 '끝나지 않은 약속: 세계평화로 가는 길'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각계 전문가·시민·청년이 한자리에 모여 지속 가능한 평화의 미래를 모색했다.
지속되는 분쟁과 갈등 속에서 평화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부산이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한 실질적 비전을 공유했다.
행사는 개회식을 비롯해 김은미 이화학당 이사장의 기조연설, 1부(평화와 실천 그리고 연대), 2부(NEXT GENERATION : 행동하는 목소리), 평화콘서트 순으로 진행됐다.
기조연설에서는 유엔(UN)의 평화 의제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중심으로 평화·인권·기후변화 대응의 상호연결성을 설명했다.
1부에서는 예술과 교육, 일상의 행동을 통해 평화가 거창한 담론이 아닌 삶의 태도이자 연대의 과정임을 보여줬다.
특히 청년이 직접 참여한 2부에서는 평화가 이념이나 담론이 아닌 지금, 이 순간 행동으로 실현되는 과정임을 이야기하며 부산이 '청년과 시민이 함께 만드는 평화의 도시'로 나아가는 비전을 함께 그렸다.
포럼의 마지막은 국악, 힙합, 재즈 등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들이 참여한 평화콘서트로 장식됐으며, 세대와 국경을 넘어 하나의 화합을 이루며 평화의 메시지를 예술로 전달했다.
포럼에는 시민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었으며, 당일 현장 등록을 통해 입장 가능했다.
김현재 시 관광마이스국장은 "이번 포럼은 전쟁과 갈등이 여전히 지속되는 시대에, 도시가 주도하는 평화의 해법을 함께 고민하는 의미 있는 자리"라며 "부산이 세계평화 중심도시이자 글로벌 허브도시로서 국제사회에 실질적 연대의 모델을 제시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






